“보훈부 시스템 복구 완료”…국가유공자 안장신청 등 7개 서비스 정상화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불편을 초래했던 정보화 시스템 중 일부가 정상화됐다. 국가보훈부는 17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한 달 가까이 중단됐던 26개 내부 시스템 중 7개가 복구돼 운영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피해 복구 속도와 이용자 불편 해소 대책을 놓고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보훈부에 따르면 정상화된 시스템에는 국립묘지안장신청시스템, 보훈부 대표 누리집을 비롯해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 누리집, 나라사랑배움터, 보훈나라, 전자도서관이 포함됐다. 이들 시스템은 국가유공자 안장 신청, 안장자 찾기 등 실질적 대민 서비스와 직결돼 있어 그간 유가족 및 국민들이 불편을 호소해 왔다.
실제로 국립묘지안장신청시스템의 중단으로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들은 장례 일정 조율, 안장 정보 문의 등 다양한 행정적 불편을 겪어야 했다. 보훈부는 “이번 복구로 주요 서비스들이 재개돼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의 불편이 상대적으로 완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아직 19개의 시스템은 추가적인 복구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반응도 엇갈린다. 정부·여당은 보훈부의 신속한 복구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국가유공자 예우와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야당은 "애초에 백업 및 재해 대응체계 부족으로 대규모 행정 중단 사태가 빚어졌다"고 비판을 이어갔다. 일부 시민사회단체 역시 “복구 속도가 더뎌 일선 유공자와 가족들이 상당한 고충을 겪었다”며 근본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입장이다.
관계 당국은 앞으로 남은 19개 시스템의 복구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보훈부는 “추가 시스템 정상화와 함께 데이터 백업, 안전 관리 강화 등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대국민 서비스 안정성과 신뢰도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전했다.
정치권은 일련의 시스템 장애 사태와 복구 과정을 두고 보훈행정 구조 개선, 디지털 안전망 강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추가 복구가 마무리되는 대로 국회가 관련 제도 개선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