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1조 달러 보상안 논란”…테슬라, 주주 반발에 암호화폐 정책도 불확실성
현지시각 17일, 미국(USA) 자동차 기업 테슬라(Tesla)가 1조 달러 규모의 머스크(Elon Musk) 최고경영자 보상 패키지와 관련해 주주총회 표결을 앞두고 있다. 세계 최대 자문기관 ISS가 “성과 기준이 불명확하다”며 문제를 제기한 가운데, 이번 조치가 테슬라의 암호화폐 정책과 경영 전략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받고 있다.
이번 보상안은 테슬라 시가총액이 일정 목표를 달성할 경우, 머스크가 향후 10년 동안 최대 25%까지 지분을 확대하는 구조다. 현 가격 기준 약 1조 달러, 사상 최대 규모다. 그러나 ISS는 “시장가치 상승만을 보상 기준으로 삼고 있어 머스크의 실제 경영성과와의 연계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머스크가 자동 운송 기술 외에도 인공지능(AI)·뉴럴링크 등 다양한 사업을 병행한다는 점에서, 경영 전념도에 대한 우려도 거론되고 있다.

테슬라 이사회 측은 “머스크가 로보택시, 로봇공학, 암호화폐 결제 전략 등 미래사업을 이끌어야 한다”며, 장기적 리더십 안정을 위한 결정임을 강조했다. 로빈 덴홀름 이사회 의장은 “머스크가 회사에 집중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해명했다. 반면 ISS는 2018년 비슷한 구조의 보상안이 미 법원에서 무효 판결 받은 전례와, 이후 테슬라의 본사 이전 사실을 상기시키며 신중한 표결을 주문했다.
이 같은 논란은 테슬라의 암호화폐 정책 변화 전망과도 맞물려 있다. 테슬라는 2021년 대규모 비트코인 투자 및 결제 시도를 단행했다가 1년여 만에 정책을 급변시켰다. 최근 일부 결제 재개 움직임도 있었지만, 이번 보상안의 승인 여부에 따라 머스크의 의지가 관철될 가능성, 또는 전략 전환 리스크가 모두 내포된 상태다.
뉴욕타임스와 코인오태그 등 국제 매체들은 “보상안 결과가 경영진 책임 및 암호화폐 수용 움직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머스크의 xAI, 뉴럴링크 등 신기술 계열사와 테슬라간 경영 의사결정 독립성이 흐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오는 11월 6일 주주 표결은 테슬라의 미래 성장 방향,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리더십 공백 가능성에 모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승인 시 대기업 경영자 보상 구조에 새로운 전례가 될 수 있으나, 부결의 경우 내부 불확실성 확대로 이어질 수도 있다. 투자자와 업계는 이번 사안이 테슬라 주가뿐 아니라 블록체인 산업 혁신 흐름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기대 심리와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신중한 대응이 요구된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