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무단 피해 확산”…상품권 결제 한도 즉각 축소
KT 통신사의 소액결제 시스템에서 무단 결제 피해가 속출하며 IT·통신 보안 체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경기도 광명과 서울 금천 지역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 새벽 시간대 본인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사례가 집중 보고됐다. 피해 규모는 26명의 고객에서 약 1769만원 상당에 이르며, KT 이용자들만을 겨냥한 정교한 수법이 의심된다는 점에서 통신업계 전반의 경계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KT는 즉각 공지를 내고 해당 피해 사실을 인정했다. 소액결제 대행사(PG사)와 협의해 상품권 업종 결제 한도를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등 긴급 조치에 나선 것이 특징이다. 또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정상 결제 패턴을 실시간 탐지하고, 피해 지역 내 소액결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연락과 맞춤 상담을 실시해 2차 피해 차단에 주력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술적 측면에서 현재까지 드러난 직접적 해킹 흔적이나 내부 시스템 오류 여부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KT와 경찰 모두 내부 결제 시스템의 문제인지, 악성코드를 활용한 외부 침입인지 복수 가능성을 열어 두고 원인 분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액결제 한도 축소는 잠정적 예방책으로, 통상 모바일 상품권 등 현금화가 쉬운 업종이 범죄 표적이 되는 경향과도 연계된다.
비슷한 유형의 소액결제 범죄는 최근 국내외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해 왔다. 미국·일본 등 주요국에서도 모바일 결제 해킹이나 다단계 사기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은 본인 인증 절차 고도화, 이상거래 탐지 인공지능(AI) 도입 등으로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AI 기반 탐지 시스템은 기존의 고정 패턴 분석을 넘어, 이용 시간·장소·결제 내역 등 다차원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이상 징후를 실시간 포착하는 기술로 진화 중이다.
이번 사태는 국내 소액결제 인증·승인 시스템의 신뢰도를 다시 점검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경찰은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사건을 이첩해 본격 수사에 돌입했다. 유사 피해 접수 지역 확대에 따라, 당국은 범죄 연계망의 존재와 내부인 정보 유출 가능성까지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통신업계는 고객 인증 강화, 결제 처리 투명성 확보를 핵심 과제로 삼고 기술적·제도적 방안 모색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소액결제 피해는 단순 이용자 불안에 그치지 않고, 서비스 신뢰도와 결제 시장 경쟁력 모두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건 여파가 상품권·모바일 결제 업종 전반에 미칠 파장, 그리고 부실한 인증 규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기술과 윤리, 산업과 제도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