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부품 공급난에 美 자동차 공장 멈춰”…미국, 알루미늄·희토류·반도체 삼중고에 산업 충격

권혁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9일, 미국(USA) 주요 자동차 공장들이 알루미늄, 희토류, 반도체 등 핵심 부품의 공급난 여파로 줄줄이 가동을 중단했다. 최근 뉴욕주 알루미늄 공장 화재,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반도체 글로벌 분쟁까지 겹치며, 미 자동차 산업 전반에 생산 차질이 번지고 있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시간주 ‘스텔란티스(Stellantis)’ 지프 SUV 공장은 지난주부터 조립라인 운영을 멈췄으며, 다음 달 초까지 중단이 지속될 전망이다. 스텔란티스 측은 핵심 부품 부족을 공식 사유로 들었고,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생산 차질 원인으로 알루미늄 부족을 지목했다. 포드(Ford) 역시 알루미늄 재고 부족으로 미국 내 3개 공장에서 생산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

미 자동차업계 희토류·알루미늄·반도체 공급난 겹쳐…생산차질 확산
미 자동차업계 희토류·알루미늄·반도체 공급난 겹쳐…생산차질 확산

이번 알루미늄 공급 충격의 중심에는 지난달 뉴욕주 오스위고(Oswego)의 알루미늄 공장 대형 화재가 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해당 공장을 운영하는 ‘노벨리스(Novelis)’가 미국 자동차 알루미늄 시트의 약 40%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화재 피해로 내년 초까지 정상 가동이 어렵다. 이에 따라 포드는 켄터키주 트럭공장 내 ‘익스페디션’과 ‘링컨 네비게이터’의 조립 중단을 26일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고, F 시리즈 슈퍼듀티 트럭 생산도 축소될 예정이다. 포드 대변인은 "노벨리스와 협력해 혼란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알루미늄 외에도,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와 미중 무역 갈등 심화,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이 미 자동차산업 전반에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업체는 모터를 미국에서 제조해 중국으로 보내 희토류 자석을 장착한 후 다시 들여오는 방안까지 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네덜란드 정부가 중국계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Nexperia)’ 경영권을 비상조치로 확보하면서, 넥스페리아 칩에 의존해온 미국 자동차업체와 부품사들은 반도체 공급 지속에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산업 전반으로 충격파가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자동차혁신연합(AAI) 존 보젤라 회장은 “자동차용 반도체가 신속히 재공급되지 않으면 미국은 물론 글로벌 자동차, 기타 산업에 파장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오토포캐스트 설루션의 샘 피오라니 애널리스트 역시 “현재와 같은 동시다발적 공급난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업계가 모든 변수에 대응하기에는 상황이 녹록지 않다”고 말했다.

 

이번 공급망 혼란은 이미 ‘트럼프 관세’와 전기차 전환 비용 등으로 부담을 안고 있던 미국 자동차 업계에 추가 타격이 되고 있다. 자동차 기업들은 연쇄적 생산차질이 시장에 미칠 충격과 부품 가격 불안정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도 “삼중(알루미늄·희토류·반도체) 부품 쇼크가 미국 자동차 산업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면서, 공급망 안정 없이는 여파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공급망 갈등, 기술 패권 경쟁, 유럽의 대중국 칩 통제 등 초국경적 변수까지 작용하고 있어, 자동차 공급난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산업계 대응과 국제 협력, 정책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태가 향후 미국은 물론 세계 자동차 및 첨단 산업 공급망 재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스텔란티스#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