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수갑 이송 막다가 출발 늦어져”…이재명 대통령, 미국 구금 한국인 송환경위 설명
정치

“수갑 이송 막다가 출발 늦어져”…이재명 대통령, 미국 구금 한국인 송환경위 설명

배주영 기자
입력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노동자 송환 문제를 두고 한국과 미국 정부 간 충돌이 표면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미국과의 조율 과정을 설명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개입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치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열고 “가장 최신 정보로는 한국시간 오후 3시 구금시설에서 출발할 예정”이라며 석방된 한국인들의 이동 계획을 밝혔다. 이어 “비행기는 내일 새벽 1시쯤 이륙해 오후쯤 서울에 도착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귀국 대상자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우리 국민이 총 316명으로 남성 306명, 여성 10명이다. 외국인 14명이 있어서 총 330명이라고 한다”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다만 우리 국민 중 1명은 가족이 영주권자라는 이유로 미국에 잔류하기로 선택했다고 소개했다.

 

송환 절차가 늦어진 배경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버스로 이동해 비행기에 탈 때까지 미국 영토이기 때문에 수갑을 채워서 이송하겠다고 미국 측이 요구했다. 우리는 절대 안 된다고 맞섰고, 밀고 당기는 와중에 소지품을 돌려주다가 중단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의 지시다. 자유롭게 돌아가게 해라. 그러나 가기 싫은 사람은 안 가도 된다’고 지시해 행정절차를 바꾸느라 출발이 늦어졌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미 양국 정부의 신속한 공조와 대통령 직접 소통이 긍정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이송 과정에서 인권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여야는 물밑에서 한국인 보호 필요성과 미국 조치 적절성 여부를 두고 활발하게 논의 중이다.

 

이날 국회는 미국 구금 한국인 단체 귀국 문제를 중심으로 긴급 간담회를 준비했다. 향후 외교부와 청와대가 송환 이후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어서 파급 효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트럼프대통령#한국인송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