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은 들러리가 아니다"…신계룡∼북천안 송전선로 두고 정의당, 대통령실 앞 규탄
송전선로 경과를 둘러싸고 수도권 개발 논리가 다시 지역 민심과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경기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전력 공급을 위한 신계룡∼북천안 송전선로 건설 계획에 대전 일부 지역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자, 대전 정치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25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및 송전탑 건설 반대 정의당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한국전력공사를 규탄했다. 정의당은 이날 대책위원회 출범을 공식화하며 대전 지역을 관통하는 송전선로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정의당 대전시당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6일 제6차 부지 확정 회의를 열고 신계룡∼북천안 송전선망 최적 경과 대역을 확정했다. 이 과정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1동, 노은2동, 노은3동, 진잠동, 학하동과 서구 기성동, 관저2동 등 7개 동이 경과 대역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교육시설 밀집 지역이 포함된 점을 특히 문제 삼았다. 당 관계자는 "대전 유성구는 송전선로 주변에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많은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하나"라며 "송전탑 경과 지역에 포함된 곳 중에도 아동과 청소년이 많이 거주하는 신도시 지역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도 지역에는 이 사실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채 경과 대역이 확정됐다"고 비판했다. 주민 동의 절차의 정당성도 도마에 올렸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송전선로 건설 계획이 제대로 알려지기 시작하면 반대가 얼마나 거셀지는 불 보듯 뻔한데, 주민 대표 몇 명을 들러리 세워놓고 주민 주도로 노선을 선정했다고 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전 시민은 들러리가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의당은 사업의 근본이 되는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상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당은 "지난 정부가 남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수도권 집중을 심화하고 지역 간 불평등을 강화하는 계획"이라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위치에도 맞지 않는 송전선로 건설 계획은 전면 철회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한국전력공사의 공식 설명과 환경·주민 영향 조사 결과가 공개될 경우 논란이 더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정부와 한국전력공사는 아직 대전 경과 대역 포함 여부와 선정 절차에 대한 구체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 향후 협의 구조와 보완 대책 마련 과정이 또 다른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향후 지역 주민 설명회와 국회 차원의 문제 제기를 병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정치권은 신계룡∼북천안 송전선로 경과를 둘러싼 갈등을 계기로 수도권 중심 산업정책과 지역 불균형 문제를 놓고 거센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