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백종원 논란 후폭풍”…더본코리아, 장성군 사업 명칭 삭제→운영 주체 긴급 교체
엔터

“백종원 논란 후폭풍”…더본코리아, 장성군 사업 명칭 삭제→운영 주체 긴급 교체

김다영 기자
입력

따사로운 미식의 꿈이 퍼져가던 장성 황룡시장에는 최근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한때 큰 기대로 시작된 백종원과 더본코리아의 협업은 수차례의 연장과 미완의 보고서, 그리고 잇단 논란 속에서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  

장성군이 추진하던 황룡전통시장 활성화 연구용역과 더본외식산업개발원 구축 사업은 2년 동안 지지부진한 과정을 반복해왔다. 지난해 6월 발주된 시장 활성화 연구보고서는 두 차례 연장에 이어 9월이 다가서도 기약 없는 최종보고서만 남겼다. 이 용역에는 군비 1억 원이 들어갔다. 야심찬 ‘미식 도시’ 청사진은 전통시장 브랜드 분석과 컨설팅, 현대화 사업 연차 추진이라는 구체적 목표와 함께 첫발을 내디뎠으나, 성장의 발판을 찾기는 녹록지 않았다.  

무엇보다 더본코리아에 맡겼던 외식산업개발원 설립 역시 연기와 무소식 속에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준공 기한이 지나도 특별한 성과가 드러나지 않자, 장성군은 결국 ‘더본’이라는 이름을 개발원 명칭에서 슬며시 지웠다. 더불어 외식 분야 교육을 담당할 주체가 사라지면서 군 직접 운영이나 공개입찰 등 새로운 방식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장성군 한 관계자는 “계속되는 백종원 논란이 미식 도시 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며 “운영 방식도 투명한 공개 방식으로 방향을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백종원과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고발, 민원, 수사 등이 이어지며 식품 광고법, 위생법, 원산지표시법 등 다양한 사안이 조사선상에 오르는 등 후폭풍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런 변화의 흐름은 비단 장성군만의 사정은 아니다. 인제군은 백종원 참여 지역축제 홍보를 취소하고, 군산시 역시 협업사업의 안전장치 마련에 두 팔을 걷었다. 예산군 역시 관련 민원과 고발 진행으로 파장이 커지고 있다.  

SBS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백종원은 9월 4일 서울 강남경찰서에 식품표시광고법과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소환돼 약 5시간 가량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 준공이 예정된 장성군 외식산업개발원 운영방식 역시 더본코리아와의 협업 축소, 새로운 운영 주체 선정으로 향후 또다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백종원 / 뉴시스
백종원 / 뉴시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백종원#더본코리아#장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