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4,300달러 첫 돌파”…금값 초강세, 트럼프 관세와 미중 리스크 여파

최영민 기자
입력

현지시각 16일,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300달러선을 돌파했다. 미국(USA)과 중국(China) 사이의 무역·지정학 긴장 고조, 그리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겹쳐지면서,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피하고 금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번 금값 급등은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속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극대화된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이 희토류 등 전략적 광물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트럼프는 이번 무역 보복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중국산 식용유까지 수입 금지 의사를 밝히며 추가 압박에 나섰다. 일시적으로 완화됐던 미중 양국 관계는 다시 격렬한 갈등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무역 마찰 격화가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경제 불확실성, 그리고 투자심리 악화로 번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금값 사상 첫 4,300달러 돌파…트럼프 관세·중국 리스크에 안전자산 급부상
금값 사상 첫 4,300달러 돌파…트럼프 관세·중국 리스크에 안전자산 급부상

이 흐름은 미국 증시에도 즉각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16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0.7% 하락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도 각각 0.6%, 0.5% 떨어졌다. 특히 미국 지방은행들이 대출 부실과 금융 불안에 연쇄적으로 휘청이면서, 금융주 중심의 낙폭이 커진 양상이다. 자이언스은행(Zions Bank)은 부도 관련 손실 공시에 13% 급락, 웨스턴얼라이언스(Western Alliance)는 사기성 대출 의혹으로 11%나 떨어졌다. 자동차 관련 퍼스트브랜즈(First Brands)와 트라이컬러홀딩스(Tricolor Holdings) 파산 신청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신용 시장에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JP모건(JPMorgan)의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최고경영자는 “바퀴벌레 한 마리를 보면, 근처엔 더 많은 바퀴벌레가 있다는 뜻”이라며 금융권 신용 위험이 확산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실제로 제퍼리스(Jefferies)는 부실 대출 충격에 10% 급락, 이달 누적 하락률이 25%에 달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비공개 대출 등 신용시장의 불투명성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경제 방송과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들은 “금이 다시 글로벌 자산시장 ‘최후의 피난처’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고 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는 2026년 금값 목표를 온스당 5,000달러로 높이고, 연평균 4,400달러 전망을 내놓았다. 은 가격 역시 강세를 점치며 56~65달러 선까지 목표 상향 가능성을 언급했다.

 

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와 불확실성 장기화에 따라 금값이 당분간 추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만 비이성적 쏠림에 따른 조정 리스크, 투자심리 급변 가능성에 대한 경계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의 내재가치는 공급 제약과 투자심리에 크게 좌우된다”며, “단기 급등은 언제든 예기치 못한 반락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번 금값 사상 최고치 돌파가 국제 금융질서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투자자와 국가별 정책 대응이 미칠 장기적 효과를 주시하는 분위기다. 국제사회는 안전자산 쏠림 현상의 지속성과 실물 경제에 미칠 여파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금값#트럼프#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