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7월 고용 7만3천명 증가 그쳐”…미국, 고용시장 둔화에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
국제

“7월 고용 7만3천명 증가 그쳐”…미국, 고용시장 둔화에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

송다인 기자
입력

현지시각 1일, 미국(USA) 노동부는 7월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보다 7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시장 예상치인 10만명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고용시장 둔화 우려를 현실로 만들었다. 실업률도 전월 4.1%에서 4.2%로 0.1%포인트 상승해, 고용시장 약화 신호가 분명하게 감지된다.

 

노동부는 아울러 5월과 6월 고용 증가폭까지 각각 1만9천명, 1만4천명으로 대폭 하향조정했다. 최근 세 달간 지속적으로 고용 부진이 이어지며 월평균 일자리 증가는 3만5천명에 머물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8천명에 비해 눈에 띄는 침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연방정부 구조조정, 이민자 단속 강화 등이 복합적으로 악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제조업 일자리도 1만1천명 줄어 관세 여파가 본격 반영되고, 연방정부 인원은 7월에만 1만2천명 감소했다.

美 7월 고용 7만3천명 증가…실업률 4.2%로 반등
美 7월 고용 7만3천명 증가…실업률 4.2%로 반등

회복세를 보인 분야는 의료(5만5천명 증가)와 사회지원(1만8천명 증가)이지만 연방정부 고용은 올해 들어서만 8만4천명 감소해 다수 부문에서 둔화세가 뚜렷하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3% 오르며 예상을 충족시켰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은 62.2%로 소폭 후퇴했다.

 

이번 지표는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기준금리(4.25~4.50%) 동결 결정을 내린 직후 발표됐다. 제롬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에 하방 위험이 명확히 존재한다”고 밝혔고, 미셸 보먼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도 “고용시장 약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반응해 미 국채 2년물 수익률은 3.75%로 급락했으며, 연준의 9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79%까지 급등했다.

 

미국 경제지와 주요 언론은 “고용지표가 긴축 완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향후 연준의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관세 행정명령은 7일부터 즉시 발효될 예정으로, 추가 고용 충격 우려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 연방정부 일자리 감축 기조가 고용창출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은다. “앞으로 몇 달간 채용 둔화와 실업률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국제 자본시장은 미국 고용 부진과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변화 움직임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번 발표가 국제 금융시장과 경기 회복 궤도에 미칠 영향에 글로벌 투자자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트럼프#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