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 위해 100일 달려왔다”…이재명 대통령, 내일 두 번째 회견서 현안 답변 주목
정치적 현안을 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정치권이 다시 한 번 정면으로 맞붙을 전망이다. 취임 후 두 번째로 개최되는 대통령 기자회견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미관계, 검찰개혁, 대주주 기준 등 첨예한 쟁점을 둘러싼 이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시선을 끈다. 취임 100일을 맞아 내놓는 정책 메시지는 정국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약 90분간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연다. 지난 7월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 이후 70일 만에 개최되는 공식회견으로, 역대 대통령 가운데 100일 만에 두 번째로 기자 앞에 서는 사례는 처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정 운영에 대한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려는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견에서는 한미관계를 비롯해 국내외 현안에 대한 입장이 핵심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미국 조지아주 한국 공장에서 체포·구금됐던 한국인의 귀국이 임박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당국간 협상 과정과 향후 제도 개선 방향 등에 대해 직접 설명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최근 교착상태에 빠진 관세협상, 주한미군 미래형 전략화, 한반도 안보 구상 역시 주요 의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검찰개혁의 후속 방안도 관심사다. 수사와 기소의 분리 이후 남은 ‘검찰 보완수사권 폐지’ 논의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어떤 구체 방향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실제로 정부 조직개편 이후 검찰개혁 방식과 속도 등을 두고 집권 여당과의 온도차가 노출된 만큼 이번 회견에서 당정관계와 관련한 질문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법안 입장과 관련해선, 오랜 논쟁을 이어온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주주 기준’ 문제도 정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재명 대통령은 그간의 내부 검토 결과와 최종 입장을 회견에서 밝혀 대주주 기준을 둘러싼 정책 논란에 직접 마침표를 찍을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여야 간 특검법, 사법개혁안 등 첨예한 사안에서 보이는 협치 구상 역시 회견의 주요 질문이 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메시지가 민생·경제회복과 한미동맹, 검찰개혁 등 국정 현안의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긴장감을 드러내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회견을 통해 국민과 일상적으로 소통하는 대통령의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야권에서는 “구체적 개혁 방향과 국민이 체감할 대책 제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정국은 사실상 이 대통령의 100일 메시지를 기점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측된다. 민심 흐름과 국회 논의 상황에 따라 여야의 입장차가 더욱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은 취임 100일 회견에서 다뤄진 각 사안에 대한 후속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