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후보 단일화 필요”…김용태, 내년 광주시교육감 선거 출마 시사
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단일화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26일 광주에서 김용태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이 내년 광주시교육감 선거 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하며 전교조 진영의 후보 단일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교원 수 감소와 고교학점제로 인한 교사 이중고, 그리고 학생 학습권 저하 우려가 정치적 쟁점으로 재부상하는 모양새다.
김용태 전 지부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지역 교원 감소로 인한 학습권 저하 우려를 타개하기 위한 보다 확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교원 정원 감축의 영향으로 교사 수업 시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이 방치될 경우 교사 업무 가중과 수업 질 저하로 이어져 학생 학습권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 전 지부장은 "광주 교원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조례 등을 제정해 교원 감축과 고교 학점제에 따른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 "교원 업무경감을 위해 행정 업무 전담 교원 제도 등도 검토해 볼 만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전 지부장의 출마 시사와 단일화 주장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현장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점에서 후보 간 정책 연대와 실질적 대책 마련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반면 일부 시민단체는 단일화 움직임에 대해 특정 진영의 독점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김용태 전 지부장은 광주전자공고 교장을 역임한 뒤 현직에서 물러나 내년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준비 중이다. 그는 "전교조 진영 후보들의 단일화가 절실하다"며 "뜻을 같이하는 분들과 소통하며 하반기에는 단일화에 진척을 내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교육현장에서 쏟아지는 현실적 요구와 정치권의 입장 조율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향한 단일화 논의는 교육정책과 민심의 향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계와 정치권 모두 교원 지원 대책과 교육의 질 향상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향후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