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K-택소노미 AI 상담 도입”…우리은행, 녹색금융 심사 효율화에 속도
IT/바이오

“K-택소노미 AI 상담 도입”…우리은행, 녹색금융 심사 효율화에 속도

조보라 기자
입력

AI 기술이 금융산업에서 녹색금융 패러다임을 실질적으로 확장하는 주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은행은 국내 주요은행 중 처음으로 'K-택소노미' 전문 AI 상담 시스템을 여신 심사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K-택소노미는 환경부가 2021년 제정한 국내 표준 녹색분류체계로, 최근 금융당국이 발표한 '녹색여신관리지침'을 통해 금융사의 평가 기준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업계는 이번 도입을 ‘ESG 금융 자동화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우리은행이 적용한 AI 상담 시스템은 대규모언어모델(LLM)과 최신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결합한 독자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업 정보나 키워드를 기반으로 K-택소노미 해당 여부를 즉시 분석한다. 기존의 수기심사 및 법령 해석에 비해 판단 속도와 정확도가 높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이 시스템은 여신 상담 과정에서 K-택소노미 분류 대상 사업의 식별 자동화, 녹색금융 적격성 판단, ESG 리스크 관리에 즉각 반영될 수 있다. 이용자와 은행 실무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업무 효율화와 신속한 의사결정의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ESG 금융분야에서 AI를 통한 기준 자동화 노력은 글로벌로 확산되는 추세다. 유럽에서는 EU 택소노미 기반 데이터 분석 업체와 은행 협업이 본격화됐고, 미국은 녹색 프로젝트 투자심사에 자동화 시스템을 파일럿 적용 중이다. 한국도 이번 사례를 계기로 국내 녹색여신 심사 표준 디지털화 경쟁이 한층 가속화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정확성, 기계학습의 설명 책임 문제 등 AI 심사 자동화가 본격화되며 감독 당국의 가이드라인 준수, 알고리즘 투명성 보장 등 후속 이슈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AI 상담 도입이 실제 산업의 녹색 전환을 앞당길지, 제도와 기술발전의 균형 속에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우리은행의 AI 기반 심사 자동화가 한국형 녹색금융 시장 전반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 도입의 속도와 ESG 실무 혁신이 맞물리며 금융 및 IT 업계의 새로운 경쟁 구도를 촉진할 전망이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리은행#k-택소노미#녹색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