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신 규제 막겠다”…미국 실리콘밸리, 1천400억 원 슈퍼팩 출범에 정치권 촉각
현지시각 기준 26일, 미국(USA) 실리콘밸리에서 주요 벤처캐피털과 AI(인공지능) 업계 인사들이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AI 규제 저지를 위한 대대적인 선거 운동 및 정치 자금 투입에 나선 사실이 확인됐다. 새로 출범하는 슈퍼팩 ‘리딩 더 퓨처(Leading the Future)’는 1억 달러(약 1,400억 원) 이상을 조성해, AI 친화적 정책 형성과 미국 내 기술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본격적인 조직 구축과 선거 전략 수립에 돌입했다.
이날 공개된 계획에 따르면 앤드리슨 호로비츠와 오픈AI 사장 그레그 브로크만 등 실리콘밸리 주요 인사들이 ‘리딩 더 퓨처’의 자금 조달과 정책 캠페인을 이끌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선거 기부와 대규모 디지털 광고를 통해 특정 후보의 AI 정책 지지 또는 반대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단체는 AI 혁신이 미국 고용 창출과 글로벌 경쟁력에 결정적이라며, 엄격한 규제 대신 ‘합리적 가드레일’ 도입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리더 조쉬 블래스토와 잭 모팻은 성명을 통해 “미국 노동자들이 AI 혁신의 결실을 제대로 누릴 수 있으려면 땜질식 규제가 아니라 산업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합리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AI에 대한 과도한 제약 시도가 향후 업계의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
정치 후원금 및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한 ‘리딩 더 퓨처’의 선거 개입은 특히 뉴욕,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오하이오 등 경합주의 정책 토론 구도를 흔들 전망이다. 정당을 불문하고, AI 산업발전에 유리한 정책과 후보에게 자금과 여론을 집중할 계획이다.
업계의 이번 조치는 가상화폐 슈퍼팩 ‘페어셰이크(Fairshake)’가 지난 선거에서 가상화폐 규제에 반대한 정치인을 밀어 여론을 바꾼 전략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실리콘밸리식 ‘정책 네트워킹’이 AI 분야로 본격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미 백악관 ‘AI·가상화폐 차르’ 데이비드 색스와 같은 실리콘밸리 대표 인사들도 규제 우려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AI 입법을 둘러싼 정·산업계 연합 구도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민주당(Democratic Party)의 정책 변화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앤드리슨 호로비츠 공동창업자 마크 앤드리슨이 공화당(Republican Party) 지지로 선회하는 등 업계 내 정치적 노선 변화도 포착됐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실리콘밸리의 직접적 선거 개입이 미 의회의 AI 논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으며, 블룸버그 블룸버그는 “AI 산업이 정치와 결합해 규제 저항 연합의 실체가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슈퍼팩 출범이 미·중 기술경쟁 구도 속에서 미국이 기술 주도권을 방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라며, AI 관련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글로벌 투자 흐름과 IT업계의 진로도 크게 요동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증시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들은 미 의회 AI 규제 논쟁의 진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