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대중 관세 인상 검토”…멕시코, 미국 압박에 통상정책 전환 전망
국제

“대중 관세 인상 검토”…멕시코, 미국 압박에 통상정책 전환 전망

문수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27일, 멕시코(Mexico) 정부가 2026년도 예산안 논의에서 중국(China)산 수입 자동차, 섬유, 플라스틱 등에 대한 관세 인상 방안을 집중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최근 미국(USA)의 대중 수입 규제 압박이 고조되는 가운데 멕시코가 정책 전환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정부는 내년 8월까지 의회에 제출할 예산안을 논의하며 미국의 대중 관세 수준에 맞는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안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 멕시코의 중국산 자동차 관세는 최대 20%로, 미국의 관세율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멕시코, 미국 압박에 對중국 관세 인상 검토…자동차·섬유 등 대상
멕시코, 미국 압박에 對중국 관세 인상 검토…자동차·섬유 등 대상

이번 논의는 미국의 요구가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는 올해 들어 멕시코에 중국산 제품관세 인상을 반복적으로 요청했고, 2월에는 재무장관 스콧 베선트가 북미 지역 제조업 연대 강화를 언급하며 관세 협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멕시코가 세수 확보 및 재정 부담 완화라는 자체 목표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미국 무역정책 변화에 대응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관세 인상방안이 확정될 시 중국뿐 아니라 다른 아시아 국가에까지 확대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세부 관세율과 시행 품목, 일정은 미정이다.

 

관측통들은 이번 조치가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기반한 ‘북미 요새’ 전략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고 본다. 미국은 멕시코를 경유한 저가 중국산 우회 수입을 차단하기 위한 압박을 강화해왔으며, 멕시코 역시 미국과의 동맹관계와 통상 압력 사이에서 균형점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멕시코 증시의 관련 산업주, 환율, 북미·아시아 무역 흐름 등도 관세 인상의 실행 여부에 따라 변동이 예상된다. 특히 공급망 재편, 글로벌 무역질서 변화 가능성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멕시코의 정책 고민은 미중 무역 분쟁 속에서 주변국의 선택지가 얼마나 좁아졌는지를 상징한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멕시코의 최종 결정 시점과 범위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 충격파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멕시코의 구체적 관세 인상 방안과 북미 무역 재편 협상 구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멕시코#미국#관세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