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9%로 반등”…한국갤럽 조사, 외교 평가가 변수
대통령 지지율을 둘러싼 격랑이 정국을 흔들고 있다.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59%로 집계돼 반등세를 보였다. 정치적 고착 구조 속에서 긍정과 부정 평가의 갈림길에 선 민심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9%로 전주 대비 3%포인트 상승했다. 2주 연속 약세를 보였던 국정 지지율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30%로 전주보다 5%포인트 하락해 긍정 여론이 뚜렷이 확대됐다.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는 11%로 나타났다.

직무 평가 요인 가운데 긍정 평가는 ‘외교’ 부문이 21%로 가장 높았다. 동시에 부정 평가의 핵심 사유 역시 ‘외교’로, 12%의 응답자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처럼 외교 분야가 국정 지지율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당별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4%를 기록해 직전 조사와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다. 국민의힘은 23%로 전주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도 각각 3%, 2%, 1%의 지지율에 머물러, 전체 판세에 추가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다.
여야는 지지율 흐름을 두고 해석을 이어가며,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외교 이슈가 단기간 내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지지율의 변동 폭이 향후 정국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는 전국 단위 무선전화 가상번호 전화 인터뷰로 진행됐으며, 45.8%의 접촉률과 11.8%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반등에 따른 정국 재편 가능성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여야는 향후 추가 여론조사 결과와 각종 정치 현안을 두고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