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심 70 대 민심 30" 유지 선언한 국민의힘, 지방선거 경선 룰 논란 재점화
지방선거 경선 룰을 둘러싼 당심과 민심의 힘겨루기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민의힘이 당원 투표 70 퍼센트, 국민 여론조사 30 퍼센트로 반영하는 이른바 7 대 3 경선안을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하면서다.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 대변인을 맡고 있는 조지연 의원은 25일 현역 시장·군수·구청장과의 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방선거 경선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현행 50 퍼센트에서 70 퍼센트로 높이기로 한 방안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조지연 의원은 당심 70 대 민심 30 비율을 재확인하며 "7 대 3 비율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조지연 의원은 당심 비중 확대의 배경에 대해 "이번 지방선거가 국민정서와 민심을 최대한 반영해야 된다는 것과 동시에 취약한 당세를 확장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의 뿌리를 튼튼하게 하는 일도 이번 선거의 최대 과제"라며 당원 기반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심을 의식하면서도 조직력이 약한 지역에서 당세를 키우기 위해선 당원 중심 구조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논리다.
다만 나경원 의원이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위원장을 맡고 있고,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당심 비율 상향이 특정 인사에게 유리한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도 제기됐다. 조지연 의원은 이에 대해 "어떠한 개인을 두고 룰을 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경선 규칙이 특정 후보를 겨냥한 맞춤형 룰이라는 해석을 일축한 것이다.
그는 7 대 3 경선 룰이 기획단 특정 인사에게 유리하다는 지적에도 반박했다. 조지연 의원은 "일반 국민 여론을 많이 반영하는 것도 맹점이 있다"고 전제한 뒤 "인지도 높은 후보가 일반 여론이 높았을 경우 높게 나오는 게 그간 선거 결과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 기여도에 대한 강화, 당원 비율 강화가 궁극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들도 병행해야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선 과정에서 당 기여도와 조직 활동을 중시하는 방식이 장기적으로 당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회의 테이블에서는 다른 목소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연석회의에 참석한 일부 기초자치단체장들은 더불어민주당의 권리당원 권한 강화 사례를 언급하며, 오히려 민심 반영 비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정서와 일반 유권자 여론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할 경우, 지방선거에서 중도층과 무당층을 상대로 한 확장성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별개로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청년 인재 발굴과 영입 방안도 논의했다. 기획단은 각 당원협의회별로 지역구 청년 인재 1명 이상을 의무적으로 공천하는 방안을 마련해 당 지도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청년 공천 비율을 제도화해 조직 내 세대교체를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민의힘이 당심 70 대 민심 30 경선 룰을 고수하겠다고 못 박으면서, 향후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 논의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와 정치권은 지방선거 경선 규칙을 둘러싸고 민심과 당심, 그리고 세대교체 과제를 놓고 치열한 논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