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입국 불이익 없다”…조현 외교부 장관, 구금 한국인 안전귀환 및 후속협의 강조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귀국과 관련해 외교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과의 고위급 협의를 통해 한국인 보호와 재입국 권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미국 측이 구금된 한국인들의 안전한 귀국 및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다는 점을 공식적으로 확약한 상황이다.
조현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주미대사관에서 취재진에게 "오늘 오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만남에 이어, 앤디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도 만났다"며 "루비오 장관과의 합의가 이행되고 있음을 직접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조현 장관은 "지금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이 내일은 비행기(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일체 수갑을 채우는 일이 없도록 재차 미 측 확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확약받았다"며, 구금자 전원이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에서 자유롭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조 장관은 한국 전문인력의 미국 입국 문제와 관련해 "국무부와 외교부 간 워킹그룹에서 새 비자 형태를 만드는 협의를 신속히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미 정상 간 신뢰에 힘입은 결과라는 평가가 뒤따르고 있다.
조현 장관은 "지난번 한미 정상회담이 아주 순조롭게 잘 됐고, 양 정상 간 신뢰가 사태 해결에 큰 역할을 했다"며 "미국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거 체포 배경에 대해서는 아직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미국 이민 당국의 일방적 조치에 우려를 표시하면서도, 한미간 신속한 정상외교와 실무자 협의가 예상보다 빠른 귀국 합의로 이어졌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 역시 한미동맹의 신뢰에 힘입어 민감한 외교 현안이 평화적으로 수습됐다고 진단했다.
이날 외교부 관계자 역시 "구금 한국인 전원이 11일 전세기를 이용해 귀국하며, 신속한 비자 문제 협의가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미국 내 유사 사례 재발 방지와 동시에, 한국인 안전보호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