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림 아래 선비의 길을 걷다”…영주, 고요한 가을에 머무는 풍경
요즘, 한적하고 사색적 여행지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기능보다 여유, 빠름보다 느림을 택하는 마음속에는 새로운 피로회복의 기준이 담겨 있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찾고 싶은 이들에게, 경북 영주는 흐린 하늘 아래 선비의 흔적이 고요하게 묻어나는 곳이다.
9월의 영주는 하루 평균 25도 내외의 온화한 기온, 바람도 약하게 불어오며 산책하기에 더없이 좋은 날씨를 보여준다. 이른 아침, 부석사의 오랜 계단을 하나씩 오르는 발걸음 위로 은은한 목탁 소리가 바람에 얹혀온다. 문무왕 때 세워진 고찰 부석사는 시간의 무게만큼이나 깊은 고요가 깃들었다. 문화재와 어우러진 소백산 능선에는 가을 초입의 단풍빛이 천천히 번져가는 중이다. 많은 방문객들이 이곳 마당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저마다의 속도로 풍경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긴다.

이런 변화는 숫자와 현상에서도 나타난다. 최근 여행지를 고를 때 ‘힐링’과 ‘정적’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나이와 관계없이 역사와 전통을 품은 도시에 스며들고 싶은 이들이 많아진 영향이다.
선비의 숨결이 남은 소수서원도 빼놓을 수 없다.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이곳은, 울창한 송림과 기슭을 따라 흐르는 죽계천이 조화를 이룬다. 서원 특유의 차분한 공기는 방문객들로 하여금 오히려 조용히 걷거나 혼잣말로 마음을 추스르게 한다. 선비촌에서는 마치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온 듯, 전통 한옥과 기와집이 어우러진 풍광이 펼쳐진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고 옛 마당을 거니는 체험을 하는 이들도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런 여행 패턴을 ‘정서적 회복’이라고 표현한다. 도시심리연구소 A 연구원은 “빡빡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이 전통적 공간에서 비로소 자신의 감정과 삶을 천천히 되짚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부석사 돌계단을 오르며 조용히 바람을 느끼는 순간, 오래된 시와 노래가 가슴을 울린다”는 후기, “소수서원 숲길을 걷다가 고요함에 마음이 편해졌다”는 체험담이 잇따른다. “이젠 북적임보다 고요가 좋아졌다”는 반응도 낯설지 않다.
쁘띠 휴식이라 부를 만한 작은 여행이 주는 힘은 생각보다 크다. 영주의 선비길을 따라 걷는 사소한 나들이, 한옥 사이를 스치는 가을바람처럼 우리의 마음에도 잠시 고즈넉함이 스민다. 지금 이 흐림과 고요의 풍경은 각자 삶의 리듬을 다시 세우는 소중한 시간일지도 모른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