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양자기술로 미래전장 혁신”…과기정통부-공군, 국산 무기체계 개발 시동

최유진 기자
입력

양자과학기술이 국방 무기체계에 적용되며 첨단 방위산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군은 20일, 킨텍스에서 양자과학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진 양자과학기술을 활용해 독자적 무기체계 개발력을 키우고, 수출통제 등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는 국방력을 갖추려는 전략적 행보다. 업계는 이번 협약을 ‘K-방산의 미래 혁신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양자과학기술이 가진 전략적 잠재력을 국내 무기체계에 실질적으로 녹여내는 데 있다. 양자기술은 기존 GPS 없이도 정밀 항법이 가능한 무GPS 시스템, 적 스텔스 무기 탐지, 초고속 암호 해독 등 방위산업의 게임체인저로 꼽힌다. 특히 양자레이더, 양자암호 등은 우주·항공,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등에서 획기적 효율성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와 공군은 지난 8월부터 협의를 거쳐 양자기술 자문 및 연구 인프라 제공 등 체계적 개발 로드맵을 마련했다.

양자과학기술의 군사적 활용은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도 국가 전략기술로 집중 육성되고 있다. 미 국방부는 양자암호통신, 스텔스 탐지용 양자센서 등 연구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으며, 유럽연합 역시 첨단 국방 응용에 엄격한 수출통제를 병행한다. 이에 맞서 국내 방산업계는 기술 주권 확보와 국제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독자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공군이 무기체계 기획 단계부터 양자기술 도입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자문과 공용 연구시설을 제공한다. 공군 역시 차세대 전투 시스템, 양자레이더, 무인기 통제 등 미래전장 시나리오에 양자기술 적용 방식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양자기술이 실제 군 무기체계에 도입되는 시점이 국방 산업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선진국들이 수출통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기술 자립 없이는 군사적 주권과 방산 수출 모두 위협받을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 모델이 실질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력, 제도, 윤리, 국제 규범이 균형 있게 맞물릴 때 국가 안보와 첨단산업 경쟁력이 동반 성장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공군#양자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