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보험업계 첫 만성질환 디지털 현물급부”…카카오헬스케어, 맞춤 관리 본격화

신도현 기자
입력

카카오헬스케어와 DB손해보험이 국내 보험업계에서 처음으로 만성질환자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현물급부 서비스를 출시했다. 만성질환을 가진 보험 가입자는 기존의 현금 진단비 대신, 의료기기와 디지털 헬스케어 관리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받게 됐다. 협업은 만성질환 관리 접근법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양사가 17일 공개한 '건강할 때 준비하는 행복케어 종합보험 2510'은 질병 진단 시 스마트 연속측정기기와 전문 건강상담을 실물·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물급부는 보험사가 환자에게 금전 대신 구체적 서비스나 물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번처럼 만성질환 관리 기기와 디지털 플랫폼이 결합된 서비스는 국내 최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당뇨 환자에게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전문 건강상담을 제공한다. CGM은 10일간 손가락 채혈 없이 실시간 혈당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기존 간헐적 측정 대비 환자의 자가관리 부담이 크게 낮아진다. 고혈압 진단자에게는 국내 보험업계 최초로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 비피(CART BP)'와 맞춤 상담 서비스가 지원된다. 해당 기기는 병원에서 사용하던 24시간 혈압 측정장치로, 보험사 보장 내 디지털케어 제공은 새로운 모델로 평가된다.

 

이 같은 기기·서비스 결합은 보험사가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건강관리 사업을 확장하는 움직임과 맞물린다. 카카오헬스케어와 DB손해보험은 지난 5월 포괄적 업무협약 체결 이후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 건강관리, 보험상품 연계 등 후속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번 서비스는 만성질환 환자 맞춤형 데이터 기반 관리의 산업적 실효성을 증명할 시금석으로 주목받는다. 글로벌에서는 미국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등 일부 보험사가 웨어러블 기기와 헬스케어 서비스를 보험상품과 연계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번 사례가 첫 도입이다.

 

보험 현물급부 확산을 위해 개인정보 보호, 의료기기 안전인증 등 규제 환경 변화 역시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행 의료기기·바이오 데이터 활용 규제를 준수하는 동시에,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임상적 효과와 데이터 보안성 여부가 상품 경쟁력을 좌우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보험사의 본격적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진입이 보험·IT·의료 융합 신시장 형성의 전조”라며 “기술, 규제, 산업구조를 아우르는 다층적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계는 이번 현물급부형 디지털 헬스케어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주시하고 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헬스케어#db손해보험#디지털헬스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