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K-조선 없인 해양 패권 재건 불가”…미 허드슨연구소, 한미 조선 협력 전략 강조

윤선우 기자
입력

한국의 조선 기술력이 미국의 해양 산업과 해군력 재건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 허드슨연구소가 최근 ‘미국의 해사 역량 재건’의 필수 조건으로 한국과의 협력 구상을 공식 제기하면서 양국 간 조선 생태계 협력 논의가 다시 가속화되고 있다.

 

19일 미국 허드슨연구소의 마이클 로버츠 선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기고문에서 중국 조선 산업의 압도적 성장세와 그에 따른 미국 해군력 약화 우려를 심도 있게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도전은 명확하다. 미국 조선소가 미 해군에 군함 한 척을 인도할 때마다 중국 조선소는 세 척을 건조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저임금 노동력과 국가 주도 공급망이 중국 조선업의 규모 경쟁력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중국은 세계 신규 선박 발주량의 75%를 차지했고, 한국과 일본은 20%에 그쳤다”며 최근 5년 동안 한국-중국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나아가 “중국은 군사와 상업 해양 영역 모두에서 국가 전략적 지배력을 키워가는 유일한 존재”라고 규정했다.

 

로버츠 선임연구원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심층적 동맹국 조선업 협력이 필수”라고 역설했다. 그는 “한국의 조선 기술력은 미국 해양 역량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며, 에너지와 산업 분야에서의 한국 안보 강화와 상호 연계성을 들었다.

 

구체적으로는 한화그룹의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 사례도 언급됐다. 로버츠 선임연구원은 “한화의 계획은 미국 조선 인력 일자리를 늘리고 세계적 조선 기술을 미국에 이전시킨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필리조선소가 미 해군 계약 경쟁에 참여할 기반을 갖춘 것은 단순한 상업적 성공을 넘어 전략적으로 크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행정부 입항 수수료 제도와 관련해서도 그는 “중국산 선박의 시장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한·일 등 동맹 조선소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급부상했다”며 동맹국 조선업의 경쟁력을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동시에 미 의회에서 추진 중인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에 대해 “이 법안과 동맹국 협력이 병행된다면, 미국 해사산업이 다시 국가 전략적 강점을 획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정부도 한미 간 조선업 협력 구체화에 속도를 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을 방문해 양국 조선업 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김정관 장관은 면담 직후 “여러 건설적인 아이디어와 구체적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치권과 업계는 최근 한미 관세·무역 협상과 맞물려 조선업 협력이 한미 경제안보 대화의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조선업 공세 속에서 한미 동맹이 기술·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면 글로벌 해양 질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국회와 산업계는 미국 의회의 입법 동향을 주시하며, 향후 한미 조선협력이 양국 공동 번영을 견인할지 주목하고 있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허드슨연구소#한화필리조선소#김정관산업통상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