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김민석 총리, K-푸드 150억달러 수출 목표 제시

김태훈 기자
입력

농업을 둘러싼 국가전략 지정과 농가 지원을 놓고 정책 당국과 현장 농업인이 맞붙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국가 차원의 육성과 농업재해 책임 확대를 강조하면서, 농업의 성장 전략과 현장 목소리가 교차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1일 오후 강원 원주에서 열린 제30회 농업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은 이재명 정부가 혼신을 다해 만들어갈 국정과제"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김 총리는 농가에 대한 지원 확대와 K-푸드를 앞세운 글로벌 식품 수출 강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 총리는 “우리 농업은 놀라운 발전을 이뤄왔다. K-푸드가 세계인 입맛을 사로잡으며 올해 농수산식품 수출액이 최단기간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며, “2030년 150억 달러 수출 목표로 주력 품목을 육성하고 수출 활동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농촌지역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해, 안심하고 농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소득안전망을 튼튼히 하고 농업재해에 대한 국가 책임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얼마 전 경주 APEC 현장에 설치된 K-푸드 스테이션에서 한식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렸고, 단감의 중국 수출, 제주 한우와 돼지고기의 싱가포르 시장 진출을 위한 검역 협상 성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성과가 “농업인들의 땀과 헌신에서 비롯됐다”며 격려의 뜻을 전했다.

 

이날 김 총리는 벼와 보리로 제작된 코르사주를 착용하고 단상에 섰다. 그는 “전통을 넘어 창의성으로 전 세계로 뻗어나갈 K-푸드와 K-농업의 장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도 농업 지원과 농촌 활성화 정책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분출되고 있다. 한편 주요 농업 단체는 농업재해 보상 범위 확대와 청년 농업인 육성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보다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에 주문했다.

 

농업 수출목표 달성과 농가 지원이 정국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면서, 정책 효과와 민심 흐름이 향후 정치적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농업의 국가전략산업화를 위한 추가 대책을 검토할 계획이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k-푸드#농업인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