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원 혈류 분석 기술”…카카오벤처스, 플로우닉스에 투자 단행
4차원 혈류 분석 소프트웨어가 심뇌혈관 질환 진단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의료 영상 분석 스타트업 플로우닉스가 카카오벤처스 등으로부터 10억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하며, 진단 정확도와 효율성 경쟁에서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투자를 ‘정밀 의료 영상 분석 혁신’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플로우닉스는 심장 및 혈관 내 혈류의 움직임을 3차원 공간과 시간 축(4차원)에서 시각화하는 ‘플로우닉스 스트림라이너’를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단순한 혈관 모양 분석에서 한계가 있던 기존 영상 진단과 달리, 혈류 패턴·속도·방향 등 미세한 역학 데이터를 정밀하게 파악한다. 특히 시시각각 변하는 혈류의 동적 흐름을 실시간 분석해, 기존 검사로 탐지하기 어려웠던 초기 병변까지 놓치지 않는다.

플로우닉스의 AI 기반 분석 시스템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혈류 분석을 30분 이내에 끝내고, 의료진의 임상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임상 환경에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UX)과 효율적인 진단 프로세스로 진료 현장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심혈관계 질환이 전 세계 주요 사망 원인 1위일 만큼,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필수적인 의료 니즈에 대응한 것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AI를 적용한 관상동맥 3차원 영상 분석이나 혈관 내피 영상 기반의 진단 소프트웨어가 이미 미국, 유럽 등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플로우닉스는 국내 혈류 역학과 의료 영상 AI 분야 전문가들이 집결해, 임상 데이터 기반 진단 알고리즘의 현장 구현력에서 차별점을 내세웠다. 심혈관 영상 분석 시간이 짧고 활용성이 높아, 국내외 병원과 연구기관에 경제적·기술적으로 실효성을 갖춘 대안으로 평가받았다.
이번 투자 이전에도 플로우닉스는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사업 등 다수의 정부 R&D 과제를 수행하며 기술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올해 안으로 시제품을 개발하고, 임상 유효성 검증과 서울아산병원 등 파트너십 확대, 합리적 과금 모델 도입 등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국내 인허가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글로벌 의료 시장 진출을 준비한다.
정주연 카카오벤처스 선임 심사역은 “세계 최고 수준의 4차원 혈류 분석과 의료 인공지능(AI) 역량을 바탕으로, 플로우닉스가 심혈관 질환 진단의 표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호진 플로우닉스 대표 역시 “혁신 기술의 성공적 상용화와 임상 의료진의 실질적 신뢰 확보를 통해, 글로벌 표준 솔루션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4차원 혈류 분석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 신속하게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의료제도의 균형, 임상데이터 확보를 병행한 표준화 경쟁이 의료 영상 진단 시장의 새로운 성장 변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