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관계, 외부 영향 받아선 안 돼”…다이빙 주한중국대사, 미국 견제 메시지
한미중 정세가 맞물린 가운데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중한관계는 외부 영향에 흔들려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11일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전략협력연구원과 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 공동 포럼에서 다이빙 대사는 “중한 관계는 제삼자를 겨냥하지 않고 제삼자의 영향도 받아선 안 된다”고 밝히며, 미국의 영향력 견제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다이 대사는 “양국은 확고한 전략적 자주성으로 외부 간섭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고, “일방적 패권주의, 보호주의, 디커플링은 중한의 공동 이익을 해치므로 공동으로 반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호주의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을 겨냥해, 중한 양국이 단결해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취지를 드러냈다.

또한 다이 대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와 관련해 “시진핑 주석의 APEC 참석 자체가 한국 측 회의 개최에 대한 귀중한 지지였다”고 평가했다. 경주선언 협의 과정에서는 중국이 한국에 중요한 지지를 보냈으며, “일부 국가가 세계무역기구(WTO)와 국제통화기금(IMF) 등 내용을 포함하는 데 반대했다”고 밝혀 미국과의 입장 차이를 부각했다.
무역 갈등에 대해 다이 대사는 “미국이 일으키는 관세·무역·기술 전쟁이 중국에 충격을 주지 않았고, 오히려 자주적 발전과 개방 확대를 이끌었다”고 주장하며 “중국은 더욱 강건해지고 자신감이 넘치게 됐다”고 자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이 강대국 책임을 다해 양국 정상 합의를 이행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중 시위 이슈도 언급했다. 다이 대사는 “한국의 일부 극우세력이 중국 관련 허위 루머를 조작하고 반중 시위를 여는 것은 양국 우호관계와 한국 이미지 모두를 훼손한다”며 “한국 정부가 적절한 조치로 근본 해결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최근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언급한 일본 정치권에도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다이 대사는 “일본 신임 총리가 중국 관련 부정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는 중일관계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중국으로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포럼에 참석한 션웨이중 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 부원장 역시 “대만 문제에서 한국의 신중함이 일본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해, 한국 정부의 신중함을 상기시켰다.
이날 포럼에서 중국 외교당국이 한미일 축을 겨냥한 대미 견제와 동시에, 한반도와 지역 정세에서 한국의 균형적 태도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분명히 한 셈이다. 이에 향후 한중관계와 역내 외교 역학 구도에 대한 양국 정부의 대처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