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비화폰 실물 확보”…해병특검, 특검수사 압박 본격화
채상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과 구명로비 논란을 둘러싸고 해병대 순직해병특별검사팀과 대통령실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가 사용한 비화폰 실물이 확보됐다는 발표와 함께, 특검의 수사 압박도 한층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결정적 증거의 손에 쥔 특검팀이 추후 검찰·여당과의 첨예한 공방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새로운 정국의 변곡점으로 떠올랐다.
정민영 순직해병특검팀 특검보는 1일 서울 서초동 특검사무소 브리핑에서 “김건희 여사가 사용했던 비화폰의 실물과 통신내역을 어제 대통령경호처로부터 확보했다”고 밝혔다. 비화폰은 군·청와대 등 주요 인사들의 기밀 통화에 사용되는 장비로, 김 여사가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 당시 실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특검보는 “특검팀은 이번에 확보한 비화폰 실물과 통신내역을 김건희 의혹 관련 수사를 담당하는 이명현 특검팀과도 공유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김건희특검에서 비화폰 실물 확보를 파악한 뒤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은 것으로 안다”며 “임의제출 형식으로 김건희특검에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특검팀은 현재 대통령경호처, 국군지휘통신사령부 등 관련 기관을 상대로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등 20여 명의 비화폰 통화내역 압수수색영장도 집행 중이다. 정 특검보는 “다음 주 초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장관, 조태용 전 원장 등의 비화폰 통화기록도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제출받을 예정”이라고 했다.
야권은 특검의 실물 확보 사실에 주목하며 수사 가속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여권은 절차적 정당성, 대통령실 보안 검증 문제 등을 들어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며 반발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핵심 증거 확보로 김건희 여사 소환, 구명로비 관련 의혹 수사가 본격적인 분수령을 맞을 것이란 분석이 잇따랐다.
특검팀은 다음 주 비화폰 통신내역 분석 결과에 따라 관련자 추가 소환과 증거보전 조치 등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국회와 정치권은 특검 수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 전략을 조율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