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이 군수품 운송 현실화”…창원시, 진해 해상서 해군 합동 수송 훈련 성과
군수물자 운송 혁신을 둘러싼 실전 실증이 경남 창원시와 해군의 협력 아래 성과를 보였다. 25일 창원시는 진해구 해군부대에서 드론을 활용한 해상 군수품 수송체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치러진 이번 실증은 민·관·군이 연합해 복합 재난 대비와 군수물자 운송 혁신을 목표로 한 첫 해상 운송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훈련은 이날 오후 ‘2025년 을지 자유의 방패(UFS) 민관군 합동 훈련’ 프로그램의 일부로 이뤄졌다. 해군부대에서 약 4킬로미터 떨어진 인근 지역까지 드론이 군수품을 수송했으며, 총 이동거리는 왕복 8킬로미터에 달했다. 현장에는 안상민 해군군수사령관, 모세준 보급창장, 조성환 창원시 미래전략산업국장 등 주요 인사와 드론 관련 기업 관계자 50여 명이 참여해 드론 해상 수송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

이번 실증은 창원시가 지난 7월 16일 해군과 합동회의 및 사업설명회를 통해 드론 배송 사업훈련 추진을 확정한 뒤, 8월 들어 사전 비행 테스트 등 여러 준비 절차를 거쳐 마무리됐다. 조성환 국장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이 실제 군수물자 수송체계로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한 뜻깊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민관군 협력 모델에 기반해 드론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훈련 현장에서 드론의 군수품 배송뿐 아니라 재난 상황 대응 등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논의됐다. 한편, 군 관계자는 실제 작전 환경에서 드론 운송이 갖는 전략적 가치에 대해 “기존 수송 체계와 유기적으로 연계된다면, 효율성은 물론 신속성과 안전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치권과 방위산업계는 드론을 통한 군수품 운송체계가 향후 군 작전뿐 아니라 도시 재난 대응, 긴급구호 분야 등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창원시와 해군이 주도한 이번 실증이 정책 차원의 지원과 연계될 경우 새로운 위기 대응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창원시는 추가 실증 및 민관군 협력 사업을 지속 확대하는 한편, 유관 부처와 협의해 드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확장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