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최수종, 강물에 스며든 기억”→뿌리의 식탁 위 희망과 인연 궁금증
맑은 강물에 오래된 인내와 따스한 인심이 녹아든다. ‘한국인의 밥상’에서 최수종이 임진강, 영광의 물돌이마을, 여주 남한강의 곁에 닿아 뿌리 깊은 삶과 마음을 품은 식탁을 만났다. 물살을 따라 펼쳐지는 시간의 흐름 속, 강이 선물하는 어획물과 계절의 채소는 잊혀온 일상을 다정하게 끌어안는다. 부부 어부의 손끝에서 완성된 매운탕, 갯벌 붕어의 깊은 맛, 그리고 보만개 흙에 채운 햇고구마까지, 모두가 한 뼘의 삶과 나눔으로 이야기를 쌓아간다.
경기도 연천 임진강변에서는 어부 이형배와 이화섭 부부가 그물에 걸린 장어와 쏘가리, 참게로 새벽을 연다. 수차례 수해를 이겨낸 이들은 고향처럼 익숙한 강가에서, 손맛으로 끓인 매운탕과 어수제비에 함께한 세월을 담았다. 메기의 탱탱한 살과 네 형제를 배불렸던 추억이 어우러진 식사는, 아픔도 끌어안은 뿌리의 온기를 전한다.

전라남도 영광 물돌이마을은 바다와 강의 만남보다 이웃의 온기가 더 진하게 스며든다. 이장 김복숙은 붕어찜과 농게장, 농게볶음을 이웃들과 나누며, 칼칼한 얼큰함에 하루의 땀과 웃음을 더한다. 논과 갯벌의 풍요는 붕어와 농게에 쌓였고, 강과 바다가 펼쳐놓은 자락엔 세월을 견딘 삶의 미학, 그리고 정이 남았다.
여주 보만개 흙을 파는 손길에서 또 다른 이야기가 태어난다. 농부 김태환 가족은 남한강이 길러낸 고구마를 캐며 이웃과 도란도란 어울린다. 햇고구마의 단맛, 메기와 말조개를 담은 찜과 동그랑땡, 그리고 부모님께 드리는 전분 만두까지, 한 상 식탁엔 가을의 온기와 가족의 정성이 겹겹이 쌓인다. 이웃이 함께한 하루의 식사는 고된 일상 곁에서 말없이 마음을 어루만진다.
강가를 따라 달라지는 풍경마다 밥상 위엔 오랜 슬픔과 희망, 그리고 사랑이 함께한다. ‘한국인의 밥상’은 임진강에서 남한강까지 삶과 자연이 껴안은 공존을 보여줌으로써, 강이 만들어내는 풍요와 가족, 이웃의 연대를 이야기한다. 모두가 강이 짓는 땅 위에서, 생명이 이어진 식탁으로 또 한 번 감사와 기쁨을 맛본다.
‘한국인의 밥상’은 8월 28일 저녁 7시 40분, 최수종이 안내하는 강의 시간과 뿌리의 밥상을 따라 시청자를 풍요의 자리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