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수갑 논란 · 트럼프 잔류 요청에 지연”…이재명 대통령, 한미 협상 난항 설명
미국 조지아주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석방과 귀국 과정이 예고 없이 약 하루 지연되며 정치적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근로자들의 대우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예기치 않은 잔류 요청 등이 얽혀 한미 외교가 복잡하게 전개되는 모습이다.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외교 당국자들은 HL-GA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 근로자 석방 협상 과정을 언론에 설명했다. 당초 이들의 석방 예정 시각은 10일 새벽이었으나, 미국 당국이 전날 밤 석방을 갑작스럽게 보류했다. 현장에서는 “위에서 중단하라고 했다”는 설명만 전해졌고, 근로자를 태울 대한항공 전세기는 이미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한 상태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미국 측이 버스로 이동하고,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까지도 미국 영토에 있으니 수갑을 채워 이송하겠다고 했다. 우리는 절대 안 된다고 밀고 당기는 와중에 소지품 반환 과정에서 중단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유롭게 귀국하게 해주되 원할 경우 미국에 남아도 된다’는 지시를 내렸다는 점도 언급하며, 이 같은 미국의 정책 변화가 석방 지연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구금 과정에서 미 이민 당국은 근로자들에게 수갑 및 속박 도구를 착용시키는 장면을 공개해 한국 국민들의 반감을 자극했다. 전례상 미 정부는 체포 및 이송 과정에서 이 같은 조치를 취하지만, 한국 정부는 인도적 관점에서 구금자 공항 이송 시 속박 도구 미사용을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받아들였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숙련된 근로자들의 미국 체류를 요청하며 출국 계획에 영향을 미친 점도 드러났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면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숙련된 한국 인력이 미국에 남아 현지 직원 교육을 지원해줬으면 한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남고 싶으면 남으라’는 지시는 미국 내 투자 기업 근로자와 전문 인력의 출국이 불법체류자 단속 결과와 얽히는 데 대한 당혹감이 드러난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조현 외교부 장관은 루비오 장관에게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에 돌아가 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고, 루비오 장관도 이를 받아들여 일단 귀국 방안에 합의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결국 구금됐던 한국 근로자들은 미국 측으로부터 향후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다는 약속을 받고, 하루 늦은 11일 정오께 귀국길에 오르게 됐다. 미국 측의 직접적 출국 지연 원인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숙련 인력 ‘미국 잔류’ 제안이 꼽힌다. 여기에 공항 이송 시 수갑 논쟁까지 겹치며 한미 간 협상에 상당한 진통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정부는 유사한 상황 재발 방지 및 미국 내 한국 근로자 보호 방안 강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사안을 둘러싼 한미간 의견 차와 대응 방식은 양국 간 경제·외교 협력의 새로운 과제를 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