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주애, 방중 통해 후계자 입지 굳건”…국정원, 북중러 연대 한계도 지적
정치

“김주애, 방중 통해 후계자 입지 굳건”…국정원, 북중러 연대 한계도 지적

장서준 기자
입력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김주애의 방중을 둘러싼 해석을 두고 정치적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11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김주애가 해외 경험을 쌓는 동시에 유력 후계자 입지를 확고히 했다고 평가했다. 북한 최고지도자 일가의 세습 후계 구도가 국정원 보고로 재차 확인되면서, 향후 북중러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날 정보위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회의 결과를 기자들에게 전달했다. 국정원은 “김주애는 방중 기간 대사관에 머물며 외부 출입을 자제했고, 귀국 시 전용 열차에 미리 탑승해 언론에 노출되지 않으려 노력했다”며 “그럼에도 유력 후계자 입지에 필요한 혁명 서사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분석했다. 또 “김주애 방중 취지 역시 세습을 염두에 둔 하나의 서사가 완성되는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건강에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심박, 혈압 등 대부분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초고도비만으로 인한 과도한 땀, 계단 오를 때 가쁜 숨 등의 모습도 보인다”고 부연했다. 또한 “북한이 김 위원장과 김주애의 생체 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 대사관 투숙과 행사 물자·폐기물의 특별기 운송 등 만전을 기해왔다”고 덧붙였다.

 

이성권 의원은 “김주애를 제외한 자녀에 대해 여러 설이 있지만, 국정원은 유학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다자외교 데뷔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보다 앞서 걷거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행동을 따라 하는 등 긴장감이 엿보였다”고 언급했다.

 

북한이 방중을 통해 북중러 3자 연대를 과시하고, 정상국가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의미를 뒀으나 현실적인 한계도 드러났다. 국정원은 “3자 정상회담이나 구체적 정책 협의의 진전이 없었고, 특히 중국과 경제협력에 있어 북한 요구에 비해 중국의 반응이 미온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북중 정상회담 결과에 관한 공식 보도문 역시 중국에서만 공개됐고, 북한은 이를 외부에 알리지 않았다.

 

국정원은 “방중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북한이 앞으로 공세적 행보에 나설 수 있다”며 “중국과 인적·물적 교류 확대, 김 위원장 방러 카드를 활용해 동맹 장기화 또는 반대급부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북중, 북러 관계 모두에서 세부 현안에서는 이견이 노출됐다는 분석도 함께 내놨다.

 

박선원 의원은 “중국이 대북 제재를 해제하는 듯한 신호를 주지 않으려는 의도된 거리두기가 있었지만, 경제 교류는 정상회담 이후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정치권은 이날 북중러 연대 구도와 북한의 후계 구도 강화 등에 대해 정면 충돌 양상으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북중러 합의와 관련한 후속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한반도 정세 변화 대응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정은#김주애#국가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