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체류자 단속 여파”…현대차 미국법인, 고용 기준 재정비→준법 경영 강화
세계 완성차 산업의 심장부로 부상한 미국 남부 조지아주에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추진하는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 최근 이곳을 겨냥한 미국 당국의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이 시행되며, 글로벌 자동차 기업 현대차 미국법인이 고용관행 전반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준법 경영을 재천명하고 있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미국 내 투자 확대와 글로벌 윤리경영, 현지 법률 준수라는 키워드가 자동차 산업의 주요 화두로 부상했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최근 현지에서 발표한 공식 입장을 통해, 도급 및 하도급업체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일한 수준의 법적 준수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특히 고용 확인 요건과 이민법 준수는 기업 신뢰의 핵심이자 미국 제조업 투자 환경의 필수 요건으로 꼽힌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 마약단속국, 조지아주 순찰대 등이 합작 공장 현장에 투입돼 475명을 체포하는 상황에서, 현대차 측은 직접 고용 임직원 중엔 위법 사례가 없으며, 협력업체 전체에 대해 동일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 배경에는 글로벌 전기차 전환 경쟁 심화와 미국 현지의 노동시장 구조 변화, 그리고 국가 안보 차원의 이민 규제가 맞물려 있다. 법률 준수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가 새롭게 대두되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의 대응은 글로벌 스탠더드 정립의 시험대로 해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준법 경영 강화와 하도급 관리 체계 혁신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현대차 사례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체에 경고와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 내다봤다. 현지 생산 및 고용 확대라는 성장전략은 미국 사회의 법적·윤리적 규범과 정교하게 접점을 구축할 때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재확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