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매관매직 정점 누구냐”…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특검 소환 임박에 교육계 논란 확산

박선호 기자
입력

‘매관매직’ 의혹과 관련해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수사기관 소환을 앞두고 교육계와 정치권이 충돌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귀금속을 건네고 공직에 임명됐다는 의혹의 진상을 놓고, 특검과 여권, 야권이 맞붙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6일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을 오는 20일 소환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소환은 참고인 신분이지만, 조사 전후로 피의자 전환 가능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3일 이 전 위원장에게 출석을 요구했으나, 건강상 이유로 불응해 일정이 연기됐다. 이에 따라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이 국가교육위원장으로 재직할 당시 비서였던 박모씨도 다음 주 중 소환해 ‘매관매직’ 의혹의 구체적 사실관계 확인에 나설 방침이다.

이배용 / 연합뉴스
이배용 / 연합뉴스

특검 수사 착수 배경에는 이 전 위원장이 윤석열 정부 초반 김건희 여사 측에 금거북이 등 귀금속을 전달한 뒤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됐다는 정치적 청탁 의혹이 자리잡고 있다.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인사에 실질적으로 개입했는지 여부를 핵심 의혹으로 보고, 수사 범위를 확대해왔다.

 

최근 특검팀은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금거북이와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부부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를 확보했다. 추가적으로 박모씨의 자료도 압수 대상에 포함됐다. 민주당 등 야권은 “대통령실과 영부인 측 인사비리의 정점”이라며 공세를 강화하는 한편, 여권에서는 신속한 사실 확인을 촉구하고 있다.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이배용 전 위원장은 지난달 1일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이를 수리해 직을 내려놓았다. 교육계에선 이 전 위원장이 이화여대 총장 출신 역사학자이자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관여한 인사라는 점도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친일 인사 옹호 등 과거 역사관 논란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정치권은 이 전 위원장의 특검 소환을 계기로 대통령실 인사 시스템의 투명성, 김건희 여사 영향력 논란, 현대 교육정책 신뢰도 문제까지 격론을 이어갈 전망이다. 특검은 이번 주중 이배용·박모씨 조사를 마무리하고 김 여사 측 참고인 범위도 확대할 계획이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배용#김건희#민중기특별검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