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장 집결 요구 거부”…추경호, 한동훈 요청 외면 논란
내란특별검사팀과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 추경호 간의 책임 공방이 다시 점화됐다. 비상계엄 해제 표결을 두고 국회 주요 인사들이 충돌하면서 정국이 격랑에 휩싸였다. 최근 특검 측이 제출한 체포동의안이 공개되며,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의 행보를 둘러싼 정치적 파장이 거세다.
13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내란특별검사팀 자료에 따르면,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지난 2024년 12월 계엄 상황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국회 본회의장에 집결할 것을 수차례 요청했으나,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이를 거부하고 국민의힘 당사에 의원들이 모이도록 공지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표결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한 행위가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작년 12월 3일 밤 11시22분,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 협조 요청 전화를 받았다. 이후 한동훈 전 대표가 "계엄을 막기 위해 신속히 국회로 가야 한다"고 촉구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중진 의원들이 당사로 올 테니 의견을 들어보자"며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관련 내용을 소속 의원들에게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한 전 대표가 원내대표 명의의 반대 입장 발표를 요구했음에도 "당 대표가 이미 입장을 냈다"며 입장 표명을 거부했다는 게 특검 판단이다.
당시 계엄 상황의 혼란이 극심했던 가운데,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장 외부 의원들을 원내대표실이나 당사로 불러들이며, 본회의장 내 표결 참여력 자체를 약화시켰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실제로 본회의장에는 이미 110여 명의 국회의원이 집결했고, 국회 담을 넘는 등 긴박한 상황에서도 국민의힘 의원 다수는 본회의장에 진입하지 못했다. 특검팀은 "피의자와 지도부 구성원들은 현실적으로 당사 이동 시도를 하지 않았고, 이동 여건도 아니었다"고 짚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12월 3일 11시55분 국회의원 전원 본회의장 집합을 지시했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직후 의총 장소를 당사 3층으로 변경하고 이후에도 세 차례에 걸쳐 "당사로 모여달라"고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집결 장소 등에 혼선을 겪었으며, 일부는 본회의장에 모였다가 원내대표실로 이동해 표결에 불참하게 됐다고 특검은 봤다.
특검은 또한 계엄군이 진입하는 극한 위기 속에서도 추 전 원내대표가 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계엄 해제안이 의결된 뒤에도 장시간 원내대표실에 머무른 정황을 중대하게 봤다.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2차 계엄 선포설이 언급됐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국회를 떠나 당사로 이동했고, 한동훈 전 대표의 '본회의장 잔류'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추경호 전 원내대표 측은 "현장에서 국회 출입이 가능한 상황임을 바로 확인했으며, 곧바로 국회로 이동했다"고 밝혔고,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의원 입장을 도와달라고 요청했으나 우 의장이 "여당이 직접 경찰에 요청하라"며 사실상 요청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계엄 해제 표결 동참을 조직적으로 저지했다는 정황이 드러남에 따라 내란 특검 수사와 향후 재판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는 내란특검의 추가 조사와 함께 관련 법적 책임 소재를 둘러싼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