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상 사망 해병대 병장, 현장 감식서 범죄 혐의점 없어”…군, 사고 원인 집중 조사
장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군 당국과 유가족, 수사기관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인천 대청도 해병부대에서 발생한 병장 총상 사망사고의 현장감식 결과가 나왔지만, 뚜렷한 범죄 혐의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사망 경위와 장병 인권 관리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군 내부 분위기가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14일 해병대사령부는 전날 인천 옹진군 대청도 내 해병부대에서 숨진 수송병 A 병장의 사망사고와 관련해 유가족, 군·경 합동 수사인력, 국가인권위원회가 입회한 가운데 현장감식과 검시를 전개했다고 밝혔다. 공식 수사에선 "범죄 혐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우선 나왔다고 설명했다.

A 병장은 지난 13일 오전 7시 3분, 해안선 정밀수색작전 임무 후 운전석에서 이마에 총상을 입은 채 발견됐다. 당시 A 병장은 출혈로 위중한 상태였으며, 응급 처치와 후송이 이뤄졌지만 오전 9시 1분 공중보건의에 의해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수사초기 조사에 따르면 A 병장이 사용한 소총은 운전석 거치대에 있었으며, 발사된 실탄이 이마에 명중했다. 이와 관련해 군 당국은 "통상 탄알집에는 공포탄 두 발이 제일 위에 삽탄되지만, 사고 당시엔 공포탄 두 발이 미리 제거된 상태였다"며 절차상 의문점을 남겼다.
공식 발표 직후 해병대 관계자는 "사망한 해병의 명복을 빈다"며 "군·경 수사당국이 사고원인과 경위를 철저히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가족 동의에 따라 현재 국군수도병원에서 장례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연이은 군 내 사망 사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23일 육군 최전방 감시소초에서 하사, 이달 2일 육군 3사관학교 대위가 각각 군 소총으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최근 지휘관 회의에서 "장병들의 생명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며, 밝은 병영문화 조성과 맞춤형 자살예방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군 당국은 동종 사고 재발 방지와 병영 내 인권 보호를 위한 추가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는 향후 유사 사건에 대한 근본적 예방법 마련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