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PS 신속 펜타닐 처방 허용”…식약처, 희귀질환자 고통 완화 제도 개선
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극심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 환경이 한층 개선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9일부터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환자의 통증 관리에 있어서 신속한 펜타닐 처방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희귀난치성 질환자에 대한 현장 대응이 빨라질 전망이다. 그동안 의사는 응급환자나 암환자의 통증 경감 목적으로만 마약류 투약 이력 조회 없이 처방이 가능했으나, 의료용 마약류 관리 체계가 보완되면서 CRPS 확진 환자도 즉시 펜타닐을 처방받을 수 있게 됐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의료진의 현장 판단을 존중하는 동시에 투약 지연에 따른 환자 고통을 줄이는 제도 개선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식약처가 이번에 개선한 제도는 특히 투약 이력 조회의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통증이 극심한 CRPS 환자에 대한 신속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이나 수술치료 후에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지속되는 희귀난치 질환으로, 환부의 손상 강도에 비해 과도하고 지속적인 통증이 주요 특징이다. 국내 CRPS 환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동안 즉각적인 진통제 처방에 여러 행정적 장벽이 존재했다.

기존에는 의료진이 환자의 마약류 투약내역 조회 후에 처방해 왔으나, 이번 개선을 통해 CRPS 환자는 응급·암환자와 동일하게 절차가 간소화됐다. 아울러 퇴원 환자나 전산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투약이력 조회 없이 처방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확대·보완됐다. 해당 투약내역 정보는 식약처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기반해 주요 병원과 약국에서 공유되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마약류 관리 제도 개선이 단순 절차 축소를 넘어 환자의 치료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비교적 적은 사례였던 CRPS에 대한 신속 처방 규정이 명확해지며, 현장 의료진이 실제 환자 상태와 통증 강도에 맞는 빠른 처방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환자가 불필요한 이송·대기 시간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유럽 등에서는 희귀질환 분야에서 환자별 맞춤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환자 맞춤형 통증 치료가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는 추세다.
정진향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총장은 “환자 약 1만 명이 즉시 펜타닐을 처방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은 큰 변화”라고 말했다. 마약류 관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겠다는 식약처 입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치료의 신속성과 안전성 모두를 균형 있게 다루는 방향으로 제도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통증 관리와 의료용 마약류의 안전한 활용 및 데이터 관리에 관한 논의도 이어진다. 의료계와 정책 당국은 경계성 통증 질환자에 대한 오남용 방지와 환자 안전 관리체계 확립 등을 꾸준히 논의 중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펜타닐 등 마약처방의 적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규제 보완을 예고하며, 의료시장 내 환자 맞춤형 치료 접근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제도 개선이 실제 현장에 어떻게 안착되는지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