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차단 성능 미달”…식약처, 보건용 마스크 4종 판매 중단
보건용 마스크 업계가 미세먼지 차단 성능 미달 이슈로 술렁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온·오프라인에서 유통 중이던 보건용 마스크 등 240개 제품에 대한 수거·검사 결과, 분진포집효율 기준에 미달한 보건용 마스크 4종이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시장에 유통된 마스크의 품질 문제에 따른 소비자 불안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식약처에 따르면 이번 검사는 보건용 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비말 차단용과 수술용 마스크는 액체 저항성 중심으로 이뤄졌다. 보건용 마스크의 분진포집효율은 작은 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황사와 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 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본질적 기준이다. 식약처는 검사 결과 기준 미달로 판정된 제품에 대해 해당 제조업체에 즉각 판매 중단과 시중 회수 조치를 지시했다.

국내 마스크 시장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공급 확대에 따라 품질 관리 필요성도 높아진 상황이다. 업체 간 가격 경쟁과 유통 경로 다양화로 일부 제품 품질 관리의 사각지대가 생긴 것이 품질 저하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소비 안전과 제조업체 신뢰도에 미치는 여파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마스크 업계는 정부의 시험·검사 강화 기조에 따라 품질 검증 체계를 재점검하고 있다. 대기업과 비교해 품질 관리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 제조업체들은 기준 강화에 따른 추가적 비용·시스템 투자를 우려하고 있다. 한편 식약처는 검사 기준 미달 제품이 추가로 유통되지 않도록 유통 차단·모니터링 계획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품질 관리를 엄정하게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보건용 마스크 시장이 양적 성장 이후 질적 관리 단계로 전환되고 있다”며 “제조·유통 체계 전반에 걸친 품질 강화와 정부의 실효성 있는 사후관리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