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방역 강화 지시”…김민석 총리, 연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차단 총력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으로 방역 당국과 지방자치단체가 또다시 비상 조치에 나섰다. 2025년 9월 14일, 경기도 연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사실을 두고 김민석 국무총리는 철저한 방역과 긴급 대응을 지시했다. 정치권은 감염 확산 우려 속에 정부의 방역 능력과 현장 대응 체계에 주목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농림축산식품부에 “발생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집중소독, 살처분, 일시 이동 중지 등 긴급 행동 지침에 따른 방역 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역학 조사를 통해 발생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발생농장 일대 울타리 점검과 야생 멧돼지 폐사체 수색, 포획 활동에 만전을 기하라”며 관계 부처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도 당부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 역시 이날 오후 연천 소재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사실을 공식 확인하면서, 현지에 역학조사반을 긴급 파견했다. 방역 당국은 즉각 농장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인근 축산 농가로의 확산 차단을 위한 일시 이동 중지 명령 등 방역 조치에 돌입했다.
정치권은 김민석 총리 지시 이후 야당을 중심으로 방역 체계의 허점 여부와 예산 집행의 실효성을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당에서는 “신속한 총리 지시와 중앙당국의 협업이 확산 차단의 핵심”이라고 평가하면서 전 부처의 긴밀한 협력을 촉구했다. 현장 농민들 역시 재발 방지 대책 강화와 지원 확대를 요구하며 우려를 표했다.
경기도 연천은 과거에도 ASF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이력이 있기 때문에, 이번 확진 사례가 전국적인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는 향후 역학조사 결과를 토대로 울타리 강화, 멧돼지 포획 확대 등 추가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정부는 ASF의 추가 확산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면서, 전국 양돈농가에 대한 방역지침 준수를 다시 한번 촉구하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ASF 사태와 관련한 정부 예산 및 추가 대책 논의를 다음 정기국회에서 본격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