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지원 정부가 책임진다”…김민석 총리, 울산 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서 안전 재점검 지시
대규모 산업재해 현장에서 정부와 총리실이 발 빠르게 움직였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을 직접 찾아, 피해 수습과 구조 작업에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라고 당부했다. 노동자 7명이 매몰돼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된 이번 사고는 산업 현장의 구조적 문제와 안전불감증을 재점화시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후속 재발 방지 대책의 효과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김민석 총리는 8일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사고 현장 지휘본부를 방문해, “아직도 구조되지 못한 분들이 하루 속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이어 “현장에 위험 요소가 많은 만큼, 2차 사고 없이 안전을 확보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현재는 인명 구조와 피해자 지원이 최우선이지만, 향후 제도 보완과 현장 중심의 관리체계를 신중히 마련해 이번과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오늘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은 생명’이라는 원칙을 다시 세울 것”이라며 국가의 책임과 함께 제도 개선 의지를 피력했다.
김민석 총리는 현장 브리핑을 마친 뒤, 사고로 숨진 근로자의 빈소를 직접 찾아 유가족을 위로하고 정부의 책임 있는 지원을 약속했다. 그는 “갑작스러운 사고로 가족을 잃은 분들의 슬픔에 마음이 무겁다”며 “정부가 끝까지 책임지고 피해자와 유가족의 아픔을 함께하면서 구조와 지원을 신속히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6일 오후 2시경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현장 작업자 7명이 매몰됐다. 현재까지 공식 집계로 3명이 사망했고,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현장에서는 구조 작업이 밤낮 없이 이어지고 있으나 높은 산재 위험과 2차 사고 우려로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구조 작업 촉구 및 산업 현장 안전 재점검을 요구하며 책임 소재를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노동계 및 시민단체는 “위험의 외주화와 미흡한 안전 체계가 반복된 참사를 불렀다”고 강하게 비판했으며, 정부는 특별점검 및 근본적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응수했다.
정치권에서는 향후 정부의 후속 조치와 산업안전 제도 보완 여부가 국민 신뢰 회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무총리실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국 산업 현장 안전관리 실태 전수 점검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