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혁신 리더 산실로”…네이버 CEO 출신, 정부 초대 장관 잇따라 발탁
IT/바이오

“혁신 리더 산실로”…네이버 CEO 출신, 정부 초대 장관 잇따라 발탁

이예림 기자
입력

네이버 출신 CEO들이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초대 장관 후보자로 연이어 발탁돼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네이버는 창립 26주년인 올해, 최휘영 놀유니버스 공동대표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며, 주요 부처에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혁신 리더 산실’로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 인선은 네이버가 한국 디지털 경제의 성장과정에서 보여준 혁신 경험이 산업별 정책 설계로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휘영 후보자는 NHN 네이버 시절 구글과 야후 등 글로벌 검색 서비스와의 경쟁 속에서 네이버 지식인, 블로그, 카페 등 이용자 주도형 콘텐츠(UGC)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자리 잡게 한 인물로 꼽힌다. CEO 재직 기간 동안 국내 포털 시장 1위를 굳건히 하며, 디지털 미디어 혁신을 주도했다. 네이버를 떠난 이후에는 여행 스타트업 ‘트리플’을 창업해 관광 및 여행 산업의 디지털화를 선도했고 관련 플랫폼을 야놀자에 성공적으로 매각, 다시 인터파크트리플(현 놀유니버스) 공동대표에 올랐다.

특히 이번 내정은 문화·체육·관광산업에 디지털 혁신의 실질 경험을 가진 민간 전문가가 투입된 첫 사례로, 기존 정책에선 상대적으로 밀렸던 관광 산업의 국가적 지원체계 마련 기대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관광 산업이 문화와 체육 못지않은 시장임에도 정책적 우선순위에서 소외돼 왔던 만큼, 현장 경험과 디지털 전환 역량을 가진 인물의 등장이 의미 있다”는 입장이다.

 

네이버는 이번 최후보자 외에도 한성숙 전 대표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하정우 전 이사가 AI미래기획수석으로 지명되는 등 초대 내각 핵심 요직 배출 기업으로 부상했다. 네이버가 지난해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로 연매출 10조원을 돌파하며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차별화된 혁신문화와 리더 육성 체계가 국가 인재 풀로 작동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명 정부의 내각 인선 또한 관료 중심의 전통적 틀을 깨는 실용주의, 현장 중심 인재 전략으로 평가된다. LG AI연구원장을 지낸 배경훈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사례 역시 산업 현장 경험과 전문성을 정책에 적극 투입한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흐름이다. 글로벌 IT기업이나 미국 실리콘밸리 역시 산업별 융합 경험자를 공공영역 핵심 보직에 중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바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 경쟁이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된 시점에서, 민간 IT기업에서 축적된 혁신 경험과 조직 운용 노하우가 공공 정책의 방향성과 실행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이 높다”고 분석했다. 산업계 역시 네이버 등 IT기업 출신 인재가 정부 혁신전략 수립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네이버#최휘영#이재명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