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CAB계열 신약 독점”…동국제약, 벨록스캡정 유통 본격화
IT/바이오

“P-CAB계열 신약 독점”…동국제약, 벨록스캡정 유통 본격화

오승현 기자
입력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 기반 치료제가 위식도역류질환 분야의 치료 패러다임을 바꿔가고 있다. 동국제약은 대웅제약 자회사 아이엔테라퓨틱스와 손잡고, P-CAB 계열 국산 신약 ‘벨록스캡정’의 국내 독점 유통 및 판매에 나선다. 동국제약은 약효의 신속성과 장기간 특허에 힘입어 소화기용제 시장 내 입지 강화를 시도하며, 업계는 펙수프라잔 기반 치료제의 적응증 확장과 매출성장률에 주목한다.

 

벨록스캡정은 대웅제약의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정’과 동일한 펙수프라잔(성분명: 펙수프라잔)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위장질환 치료제이다. 이 약은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며, 프로톤펌프억제제(PPI) 대비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빠르고 증상 완화가 신속하게 이뤄진다. 특히 용법의 간편함과 약효 지속력이 높은 것이 강점으로, 하루 한 번 복용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P-CAB 계열 치료제가 최근 5년간 연평균 34%의 매출 성장률을 보이면서 전통적 PPI 시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펙수프라잔 성분 제품군은 최근 3년간 약 119%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하는 등 제품 차별성과 시장성이 입증되고 있다. 벨록스캡정은 2036년까지 물질특허에 의해 보호돼 있어 향후 10년간 제네릭 진입 없이 독점적 시장 지위를 유지할 전망이다. 여기에 적응증 확장 전략까지 더해지며 제품 경쟁력도 강화되고 있다.

 

동국제약이 이달부터 판매하는 벨록스캡정 40㎎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에, 10㎎ 제형은 같은 질환은 물론 급성·만성 위염의 위점막 병변 개선에 적응증을 적용한다. 곧 출시될 벨록스캡정 20㎎ 제형에는 기존 적응증 외에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s) 유도성 소화성궤양(제산성 질환)의 예방 적응증이 추가된다. 이는 국내 P-CAB 치료제 중 유일하게 해당 적응증을 취득한 것으로, 국내 NSAIDs 연관 소화기 질환 치료 패턴에도 변화를 예고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타제형 P-CAB 신약과의 적응증 경쟁 및 오리지널 신약과 제네릭 진입 타이밍이 관건이다. 특히 미국, 일본 등에서도 P-CAB 기반 신약 개발이 활발해 치료효과 및 복용 편의성 중심의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다.

 

국내에서는 벨록스캡정이 펙수프라잔 물질특허를 바탕으로 꾸준한 적응증 확장 전략을 통해 장기적인 시장 우위를 모색 중이다. 한편, 식약처 등 규제기관의 신약 허가 및 추가 적응증 검토 절차는 제품 확장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짓는 변수로 작용한다.

 

업계 전문가는 “펙수프라잔 계열 치료제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서, 위식도역류질환 및 위점막 질환 치료제 시장이 큰 변화를 맞고 있다”며 “향후 P-CAB 계열의 적응증 확대와 시장 다변화가 업계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업계는 이번 신약이 실제 시장에 안착해 치료 패러다임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동국제약#벨록스캡정#펙수프라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