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복지 사각지대 없앤다”…김동연·손해보험협회, 10억 원 투입해 냉난방기 지원
기후복지 강화를 둘러싸고 지방정부와 보험업계의 협력이 눈길을 끌고 있다. 경기도와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기후위기와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과제를 놓고 뜻을 모았다. 2025년 7월 8일 경기도청에서 이들은 ‘경기도 기후안전망 강화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맺고, 2027년까지 10억 원을 투입해 기후취약계층의 냉난방기 설치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은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 계층에게 실질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민관이 힘을 합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협약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민간에서는 전국 19개 손해보험사로 구성된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가 지원 사업 전액을 부담, 사회적 책임 이행과 기후격차 해소에 나섰다.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은 “이번 협약이 기후취약계층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며, "민관이 함께 사회안전망을 촘촘하게 구축하는 모범사례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역시 민간과의 지속 협력을 강조하며 “효율적인 기후복지 지원으로 사회안전망을 한층 더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민관 협력을 통한 복지 정책의 확장이 긍정적 신호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향후 실집행 과정의 투명성, 지원 대상을 둘러싼 선정 기준에 대한 보완 등 과제도 여전하다는 시각이 제시됐다.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실질적 지원이 이뤄질지에 여론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다양한 민간 자원을 연계한 복지정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향후 사회적 약자 보호와 기후위기 대응이 결합된 정책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