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가상자산에서 은행까지”…리플, 美 인가 도전→스테이블코인 시장 판도 영향
산업

“가상자산에서 은행까지”…리플, 美 인가 도전→스테이블코인 시장 판도 영향

권혁준 기자
입력

가상자산 업계가 리플의 미국 은행 라이선스 신청에 술렁이고 있다. 리플랩스가 최근 미 연방 통화감독청(OCC)에 공식적으로 은행업 인가를 신청하면서, 가상자산 기업의 제도권 금융시장 진출 가능성이 논의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번 시도가 가상자산과 전통 금융시장 간 경계 허물기의 신호탄이 될지 업계 관심이 집중된다.

 

OCC은 미국 내 은행 인가와 감독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진입 장벽이 높기로 유명하다. 리플이 인가를 획득하면 연방 및 주 정부 관할 아래 공식 금융기관의 지위를 확보하게 연이어, 테더(USDT), USDC 등 기존 스테이블코인 선두업체들과 전통 은행들과도 직접 경쟁하는 길이 열린다. 업계는 제도권 금융기관으로서의 신뢰도와 유동성 접근성이 대폭 강화될 것이라 분석한다.

출처: 리플
출처: 리플

리플이 은행 인가에 도전한 배경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경쟁 심화가 자리한다. 지난해 리플은 자사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출시해 대량 송금 등에서 테더와 USDC와 본격 경쟁에 돌입했다. RLUSD는 100% 달러 예금 및 미국 국채 등을 담보로 안정성을 내세워, 이번 인가 추진으로 공식 신뢰도를 추가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미 의회에서 ‘지니어스 액트’가 논의돼 비은행 사업자의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가능해질 전망이나, 공식 금융기관 여부는 시장 내 신뢰도에서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인가 획득 시 전통 은행과의 협력·금융 인프라 혁신이 확대되고, 그 실패 시에도 독자 노선은 이어질 수 있다.

 

리플의 대표 서비스 ODL은 현재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 국경 간 결제에 활용되며, 낮은 수수료와 빠른 송금 처리 속도로 전통적 송금 시스템 대비 우위를 인정받고 있다. 리플 측은 “기존 은행 시스템을 대체 아니라 보완·협력하며 금융 인프라 혁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강조한다.

 

월스트리트저널도 “가상자산 기업이 주류 금융권과의 경계를 넘으려는 시도”라며 이번 라이선스 신청의 산업적 파급력을 주목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도가 가상자산 업계 성장과 제도권 편입, 스테이블코인 시장 재편의 분기점이 될지 장기적 관점에서 지켜보고 있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rlusd#스테이블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