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공동연구·인적교류 확대”…과기정통부, 과학기술 협력 고도화 시동
한중 과학기술 협력이 양국 산업의 혁신과 성장 기반을 넓히는 핵심 축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28일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중 과학기술 양자 면담에서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과 진 자창 중국 과학기술부 부부장이 공동연구와 인적교류 등 실질적 협력 방안 확대를 논의한 것이다. 최근 글로벌 기술 경쟁과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한중 양국 간 협력은 산업·연구 현장의 파급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와 정책 당국은 이번 논의가 ‘글로벌 연구개발 경쟁 가속’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이번 면담에서 양측은 2024년 제15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성과를 바탕으로 공동연구와 인재 교류가 중단 없이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협의했다. 이런 합의는 기존의 학술적 교류를 넘어, 반도체·AI·바이오 등 첨단 분야 공동 프로젝트와 글로벌 인재육성 체계 고도화로 이어질 전략적 기반이 된다. 특히, 한중 연구자 간 장기간 파견·교차연수 등 상시 교류 채널 마련을 구체적으로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협력의 실효성은 양국 산업 현장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주요 국책기관과 민간 연구소 간 공동 특허 출원,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차세대 데이터 인프라 구축 등은 이미 협업 플랫폼을 가동 중이다. 관련 업계는 이 같은 공동 프로젝트가 연구 효율성과 국제 표준 선점 등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은 국가 간 연합 연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이미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 중심의 국가 간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의약·바이오·반도체 등 전략 기술 확보 경쟁에 돌입했다. 한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협력모델도 이와 유사한 해외 사례를 참고하며 제도·정책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정책 환경에서도 정부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기술이전, 특허공유, 인적자원 교류 등은 과학기술 관련법과 데이터 국경 장벽 등 다양한 제도적 논의가 필요한 만큼, 각국 정부 간 협의체 운영과 공동 연구 프로젝트 지원이 과제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협력의 연속성과 상호 신뢰 구축이 기술 상용화 및 산업 경쟁력 강화의 관건이라 강조한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양국 과학기술 협력은 국가 혁신성과와 미래산업 경쟁력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며, 긴밀한 소통과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 간 합의가 실제 성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