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엔비디아·오픈AI 전략적 제휴에 업계 긴장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캘리포니아에서 엔비디아(Nvidia)와 오픈AI(OpenAI)가 최대 1천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세계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와 챗GPT(ChatGPT) 개발사 오픈AI의 대규모 협력은 AI 산업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번 협력은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를 토대로 최소 10기가와트(GW) 규모의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사는 향후 수주 내로 세부 협약을 마무리해, 2026년 하반기까지 공동 인프라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엔비디아와 오픈AI는 급성장하는 AI 산업에서 계산 자원과 에너지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 대규모 투자에 나섰다는 평가다. 오픈AI의 샘 올트먼(Sam Altman) 최고경영자(CEO)는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며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주요 주가지수에 상장된 관련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기업 주가도 즉각 반응하는 등 시장 파장 또한 크게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도 미국(USA) 빅테크 기업들은 AI 및 데이터 인프라에 경쟁적으로 투자해 왔으나, 이번 협력만큼의 대규모 자금과 첨단 기술 동맹은 드물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I 산업 패권 경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CNBC 등 미 주요 매체는 세계 AI 산업이 본격적으로 '초대형 인프라 시대'에 진입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각국 정부와 업계도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같은 시기 전력 설비, 첨단 반도체, 데이터센터 시장이 동반 성장할 것”이라며 “에너지 정책, 공급망 안정화 등 현안도 복합적으로 얽힐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학계 전문가들도 "이번 투자는 전 세계 AI 기술 표준과 시장 경쟁 구도를 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와 오픈AI의 초대형 인프라 구축이 향후 글로벌 AI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 관심이 집중된다. 투자 가동 시점인 2026년 하반기까지 공급망, 에너지 정책, 반도체 수급 등 다양한 변수가 시장에 추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업계와 투자자들은 향후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