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지속적 흡인 배액관”…한림대, 피부이식 없는 발목 상처 치료 성공
IT/바이오

“지속적 흡인 배액관”…한림대, 피부이식 없는 발목 상처 치료 성공

윤찬우 기자
입력

지속적 흡인 배액관 기술이 고난도 발목 상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김형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창상치료법은 피부와 근육 이식에 따른 부담을 줄이며, 상처 치유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기존에는 발목 부위 특성상 상처가 쉽게 벌어지고 회복이 지연돼, 피부·근육 이식술과 같은 고위험·고비용 수술이 빈번히 이뤄졌다. 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발목 상처 치료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연구팀은 2015년부터 5년간 발목 주변 삼출성 상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장기간(평균 14일) 상처 부위에 지속적 흡인 배액관을 삽입해 치료했다. 이 장치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해 체액·활액·고름을 실시간 배출하면서, 상처 표면 세포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특히 기존 수술 후 급격한 체액 유출로 인해 피판이식술 등 2차 수술이 필요했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 결과, 환자 20명 중 19명(95%)에서 피부 또는 근육 이식 없이 상처가 완전 치유됐고, 감염 사례도 발견되지 않았다. 반복 봉합이 필요한 경우에는 초음파 유도 하 말초신경마취법을 도입해, 금식이 필요 없는 국소마취로 환자 부담을 감소시켰다. 이 마취법은 무릎 부위 신경을 정확히 타깃팅해 마취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수술 후 통증 완화 효과도 입증됐다.

 

글로벌 의료계에서는 기존 치료법 대비 수술 부담·미용 불만족·감염 위험 등 다각도의 개선 효과, 그리고 단기간 내 회복률 제고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창상 음압치료법이 다양한 부위에 적용되고 있으나, 발목 상처 치료에서 피부 이식 없이 이만큼의 치유율을 보인 사례는 드물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상처 치료 저널(Journal of Wound Care)에 3월호로 정식 등재됐다. 현행 의료 규정상 장기간 배액관 삽입 시 감염 리스크가 변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14~16일 장기 적용에도 감염 사례가 보고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부각된다.

 

김형년 교수는 “아킬레스건 등 피부 밑 조직이 얇고 노출 많은 부위 수술에서 반복 봉합 부담이 컸는데, 이 기술로 피부·근육 이식 없이도 상처 안정화가 가능해졌다”며 “당뇨 상처·금속 노출 등 고난도 창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속적 흡인 배액관 치료법의 상용화가 외상 및 만성 상처 분야의 치료 패러다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의 실제 의료 현장 안착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지속적흡인배액관#발목상처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