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지스타 2025 참가사 공개”…엔씨·크래프톤 등 혁신 게임 선보인다
자동차

“지스타 2025 참가사 공개”…엔씨·크래프톤 등 혁신 게임 선보인다

서현우 기자
입력

2025년 열리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가 한국 게임 산업의 새 도약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스타조직위원회는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지스타 2025’의 주요 참가 기업 명단, 전시 프로그램, 행사 일정 등을 17일 공개했다. 엔씨소프트가 지스타 사상 최초의 메인 스폰서로 합류하는 가운데 크래프톤, 넷마블 등 국내외 대형 게임 기업과 삼성전자, 구글코리아 등이 대거 참여해 행사 파급력이 주목된다. 업계는 행사를 ‘글로벌 게임 혁신 경쟁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지스타 2025’는 3010부스 규모로 확정되며, 엔씨소프트가 BTC관 최대 규모인 300부스 전시를 준비 중이다. 크래프톤, 넷마블, 웹젠, 그라비티 등이 BTC관에 참가하고, 삼성전자와 스마일게이트, 넥써쓰, 텐센트코리아 등은 BTB관에서 공동 비즈니스 기회를 탐색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G-CON 2025 컨퍼런스는 게임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내러티브’를 주제로 잡고,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웹툰,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 창작자가 한자리에 모여 대담과 토론을 펼친다. ‘드래곤 퀘스트’, ‘파이널 판타지’, ‘발더스 게이트 3’ 등 세계적 게임을 만든 개발자, 문정후 작가 등 유명 크리에이터가 참여해 경험을 공유한다.

AI, 실시간 그래픽, 인터랙티브 서사 등 게임산업 기술 진화는 전시 콘텐츠 고도화에도 반영됐다. 각 기업 부스에서는 차세대 플랫폼, 몰입형 네트워크, 창작자-사용자 협력 생태계 구현 사례가 집중 선보일 전망이다. 참가사는 초대형 IP와 신규 기술의 융합, 인디·스타트업 콘텐츠의 시장 진입을 적극 시도하고 있다. 제조·디지털 기술 기업의 협업도 강화돼 게임산업의 확장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지스타조직위원회는 이번 행사의 키비주얼로 네이버웹툰 대표 작가 문정후와 협업한 작품을 선정했다. 이는 전시공간부터 디지털 홍보플랫폼, 각종 캠페인에 이르기까지 지스타만의 고유 브랜드와 차별화된 관람 경험을 강조하는 방안으로, 향후 매년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지속적인 모델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글로벌선도기업 중심의 출품경쟁은 해외 게임전시회(Gamescom, Tokyo Game Show 등)와의 격차도 좁혀가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스타가 국내외 게임 비즈니스, 크리에이터 중심 네트워크 구축에 실질적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시, 컨퍼런스, 창작자·기업 협업 콘텐츠가 결합된 산업 혁신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이 주목받는다.

 

한편, 게임 산업 규제·정책 논의도 병행된다. 최근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청소년 보호, 지식재산권 강화 등 이슈를 반영해, 업계와 정부가 상생하는 생태계 전략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일부 전문가는 "이번 지스타에서 논의되는 협력, 내러티브, 글로벌 확장성은 향후 10년간 게임산업 경쟁의 주요 변곡점이 될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일반 관람객 입장권은 공식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7월 14일부터 판매된다. 산업계는 지스타 2025가 실제 시장 변화를 선도해 나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지스타2025#엔씨소프트#크래프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