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비선 수행비서 소환”…내란특검, 김용현 지시·비화폰 경위 추적
정치

“비선 수행비서 소환”…내란특검, 김용현 지시·비화폰 경위 추적

이준서 기자
입력

비선 라인 존재와 증거인멸 정황을 둘러싼 내란특검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관계자가 정면 충돌했다. 12·3 비상계엄 선포 전후를 둘러싼 지휘체계와 범죄 연루 의혹에 대해 사정 기관의 수사가 거세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7월 18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비선 수행비서’로 지목된 민간인 양모씨를 소환 조사했다. 양씨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김 전 장관의 지시, 동선, 추가 지휘사항 등 계엄과 관련한 세부 상황을 집중 추궁받았다. 특히 계엄 선포 전날인 12월 2일 김 전 장관의 지시에 따라 경호처로부터 추가 비화폰이 지급된 경위도 수사선상에 올랐다.

당시 경호처 실무진은 비화폰을 양씨 명의로 지급하라는 지시를 거부했고, 결국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명의로 불출 절차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비화폰은 이후 ‘계엄 비선’ 의혹의 핵심 인물인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직접 사용한 기록도 확보됐다.

 

양씨는 앞서 검찰 특별수사본부 조사에서, 김 전 장관이 계엄 선포 이틀 뒤 면직된 뒤 “2층 서재 책상 위 자료를 모두 치우라”고 지시해 3시간가량 문건을 세절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양씨는 “세절기 통이 여러 번 가득 차 세 번 정도 비웠다”고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란특검팀은 양씨의 진술과 비화폰 관리 기록을 토대로 계엄 선포 과정과, 김 전 장관의 구체적 지시권 행사 범위를 재구성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내란 특검법상 수사 대상에 해당하는 범인도주, 은닉, 증거인멸 또는 그 교사(사주) 등 혐의에 대한 압박도 높아지고 있다.

 

김용현 전 장관은 비상계엄 사태 당시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기소돼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 일각에서는 “계엄 비선 운영 논란이 단순문서 통제가 아니라, 지휘체계 이탈 및 은폐시도와 조직적 연계됐는지 추가 규명이 최대 쟁점”이라는 평가도 뒤따랐다.

 

이번 소환을 계기로, 특검팀은 내란 사태 전후 관련자 진술 및 기록 확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치권은 내란특검 수사가 ‘계엄 정국’ 실체에 얼마나 접근할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내란특검#김용현#비상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