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넷플릭스, 한국콘텐츠 빅히트”…2분기 최대 매출 경신
IT/바이오

“넷플릭스, 한국콘텐츠 빅히트”…2분기 최대 매출 경신

김서준 기자
입력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가 올해 2분기에도 시장 전망치를 넘어서는 기록적인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오징어게임 시즌3,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한국 기반 오리지널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가 실적 견인차로 부상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17일, 2분기 매출이 110억7900만달러(약 15조4164억원)로 전년 동기보다 15.9%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45% 성장한 37억7500만달러(약 5조2529억원)에 달했다. 영업이익률은 34.1%로 1년 사이 6.9%포인트 높아져, 콘텐츠 경쟁력과 글로벌 확장의 효과가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이번 실적의 중심에는 오징어게임3,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같은 한국발 흥행작이 자리한다. 오징어게임3는 2분기 1억2200만 조회수를 기록, 역대 시즌 중 6위에 올랐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8000만 조회수를 올리며,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사상 최대급 반응을 얻었다. 세계 각지에서 두자릿수 매출 성장이 이어졌으며, 전체 시청시간도 상반기 기준 955억시간으로 전년 대비 1% 증가했다.

넷플릭스는 성장 추세의 배경으로 유료 구독자 증가, 적극적인 구독료 현실화, 광고 매출 본격화를 꼽는다. 고품질 오리지널 콘텐츠로 시청자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추천 및 이용 전환으로 이어진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가상 아이돌 그룹 사운드트랙은 빌보드 핫100에 7곡이 진입할 정도로 파급력이 확대됐다.

 

이러한 추세는 글로벌 OTT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넷플릭스의 독자적 차별화로 해석된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전 지역에서 전통 콘텐츠 강자뿐 아니라 디즈니플러스, 아마존프라임 등과의 구독자 싸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및 아시아 시장 발 신작의 글로벌 호응이 점점 중요한 전략적 자산이 되고 있다.

 

다만 넷플릭스는 하반기에는 콘텐츠 상각비와 마케팅비용 증가로 이익률이 소폭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럼에도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기존 435억~445억달러에서 448억~452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미국 달러 약세와 신규 가입자 유입, 광고 매출 성장세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수치다.

 

업계에서는 하반기에도 웬즈데이2, 기묘한 이야기 시리즈 피날레, 해피 길모어2 등 대형 신작 런칭으로 추가 구독·광고 수익 견인이 예상된다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OTT 시장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콘텐츠 경쟁력과 구독·광고 모델 혁신이 성장의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넷플릭스가 IP 확장과 수익모델 다각화에 성공한 것은 콘텐츠 투자와 글로벌 배급 역량의 합작 결과”라며 “이번 실적이 글로벌 OTT 경쟁 패러다임 변화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하반기 넷플릭스의 실적 및 OTT 생태계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넷플릭스#오징어게임3#케팝데몬헌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