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30대 지방간 지방간질환”…조기 암 위험군으로 확인 → 청년층 암관리 새 분기점
IT/바이오

“20·30대 지방간 지방간질환”…조기 암 위험군으로 확인 → 청년층 암관리 새 분기점

정하린 기자
입력

청년층 지방간질환이 조기 암 발병의 주요 위험군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실시한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20·30대 지방간질환 환자는 50세 이전 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 대비 약 20%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가 급증하는 젊은 비만·지방간 인구에서 암관리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신호로 해석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청년층 암 선별 진단’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이번 연구는 문준호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정석송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 김원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이 주도했다.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013~2014년 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287만 명 이상을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해, 소화기·비뇨생식기·내분비 등 23종 암 발병률을 분석했다. 지방간질환 유병률은 같은 시기 20·30대 인구 기준 34.3%에 달했다.

지방간질환(steatotic liver disease)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으로, 비만·당뇨·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이 주된 기전이다. 음주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지방간염, 간경화를 거쳐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특히 이번 조사는 대사이상성 지방간(19% 위험 증가), 알코올성 지방간(21%), 복합성 지방간(12%)을 모두 포함해 분석했으며, 모든 유형에서 조기 암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올랐다.

 

세부적으로는 ‘비만 관련 암’에서 증가폭이 컸다. 대장암 최대 1.32배, 신장암 1.53배, 갑상선암 1.36배, 자궁내막암은 3.78배에 이르렀다. 젊은 세대에서 증가하는 비만과 생활습관의 변화가 지방간질환 위험군을 확대한 결과로 풀이된다. 관계 전문가들은 “지방간질환이 간 이외 전신 암 발생과 연결된다는 사실은 새롭게 확인된 중요한 임상 정보”라고 설명한다.

 

글로벌 연구 동향과 비교하면, 서구뿐 아니라 아·태 국가에서도 지방간질환 기반 암 조기 진단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국, 유럽에서도 젊은 성인 비만과 간질환 기반의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암 진단 프로토콜은 국내외 모두 충분히 정비돼 있지 않다.

 

한편, 현행 건강검진 체계나 보험 적용은 지방간질환 환자의 암 모니터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연구진은 “진단율을 높이고 암 위험군을 별도로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연구 성과는 임상 위장병학 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발표돼 국제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준호 교수는 “젊은 지방간 환자에서 암 진행이 빠르며, 조기 진단이 예후를 극적으로 좌우한다”며 “증상을 느끼기 어려운 특성상 통합적 검진 전략과 의료 현장 경보 시스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실제 조기 암 선별 기준 정립과 시장 확대의 출발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검사 범위, 제도 개선의 균형이 암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열쇠로 거론된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문준호#지방간질환#조기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