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GPU 26만장 대규모 공급”…엔비디아, 정부·대기업 손잡고 14조원 AI 인프라 출격
한국이 전 세계적인 GPU 공급난 속에서 엔비디아로부터 26만장의 최첨단 AI GPU를 우선 도입하면서, 국가적 AI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공급 규모만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이번 협력으로, 정부와 대기업 주도의 소버린 AI 환경 조성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1일 업계와 엔비디아에 따르면,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의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GPU 총 26만장을 국내에 도입한다. 정부가 최대 5만장,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이 각각 5만장,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장을 공급받을 예정으로, 한국 내 AI GPU 수량은 기존 6만5,000장 규모에서 30만장 이상으로 크게 확대된다. 전체 투자액은 14조원 수준으로 집계된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에 대한 ‘우선 공급’이 한국 AI 생태계 고도화와 글로벌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자동차·인터넷·클라우드 등 국내 대기업이 AI 팩토리, 자율주행, 초거대 AI 등 전략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와 제조, 통신 등 산업별로 축적된 기술력이 엔비디아와의 AI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면서 국내 AI 생태계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도 “한국은 전략적 파트너”라며 국가 차원의 인프라 투자와 혁신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정부와 현대차가 추진하는 4조3,000억원 규모 피지컬 AI 공동 투자, SK의 산업용 AI 서비스 확대, 삼성전자의 AI 팩토리 및 디지털 트윈 구현, LG전자의 의료·로보틱스 분야 연합 등도 눈에 띈다. 클라우드와 통신 인프라 측면에선 삼성, SKT, KT, LG유플러스가 AI 기반 6G 무선망 개발을 위한 협력에 돌입했다. 양자컴퓨팅 분야에선 엔비디아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간 연구센터 설립, 국가 슈퍼컴퓨터 ‘한강’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이 본격화된다.
국내 AI GPU 인프라의 양적·질적 도약은 과거 메모리·ICT 인프라와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빠른 진전이라는 평가다. 업계는 이번 대규모 GPU 도입이 국내 AI 제조, 반도체, 인터넷 산업 발전은 물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기폭제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향후 시장에서는 정부의 AI 거버넌스 강화와 중·장기 부문별 투자 성과에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