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성수품 17만톤 공급 확장”…당정, 물가 안정·취약계층 지원 대책 총력
추석을 앞두고 여야와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팔을 걷어붙였다. 물가 상승에 노출된 민심과 서민경제를 겨냥해, 당정은 농축산물 공급 확대와 다양한 할인 정책을 내놨다. 명절 대목을 둘러싼 정치권과 행정부의 공조가 이번에도 시험대에 올랐다.
15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추석 민생안정대책 당정협의’를 열고, 성수품 등 주요 농축산물과 관련한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과 직접 할인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한정애 정책위의장, 허영 원내정책수석 등 민주당 측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정부 주요 부처 장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대책을 논의했다.

당정은 이번 추석을 계기로 사과·배를 평시보다 3배, 밤은 4배, 대추는 18배 이상 공급해 주요 성수품을 총 17만2천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주식인 쌀은 별도 2만5천톤을 추가 공급하고, 정부 양곡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20% 할인해 10킬로그램당 8천원에 공급한다.
구윤철 부총리는 “추석 성수품 중심으로 역대 최대 공급 확대, 할인 지원, 할당관세 등 가용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며, “서민 및 소상공인 금융지원, 생활비 경감, 체불임금 청산 등 민생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역시 “성수품 15종에 대해 공급량을 대폭 늘리고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원을 투입해 할인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책도 눈길을 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서민, 취약계층, 청년층에 대해 추석을 전후해 1천405억원의 정책 서민금융을 지원하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은 신규 43조2천억원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또 장기연체 채권 매입, 채무조정 강화, 저소득층의 원금 감면 상향 등 구조적 대책도 내놨다.
여기에 지방 중심 내수 진작을 위한 숙박쿠폰 15만장 배포, 여행상품 최대 50% 할인, ‘여행 가는 가을’ 캠페인 등이 포함됐으며, 명절 연휴에는 박물관·미술관 등 국가시설이 무료로 개방된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시설도 무료 개방에 동참한다면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귀성객과 역귀성객을 위한 고속도로 통행료(10월 4~7일) 면제뿐만 아니라, KTX·SRT 요금도 30~40% 할인된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명절이니 물가가 오른다는 인식을 경계해야 하며, 역대 최대 공급 대책이 현장에서 차질 없이 시행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생산단계부터 현장 중심으로 근본 대책을 강구하는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도 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추석 민심에 민생 안정대책이 실질적으로 체감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정부와 여당은 공급 및 할인 정책의 신속·정확한 집행을 강조하며, 박물관 등 공공시설 무료 개방과 소상공인 지원 등이 어느 정도 민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이날 국회는 추석 명절을 앞둔 물가·민생 대책을 두고 당정이 실효성 확보와 현장 적용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부는 향후 물가 동향과 지원정책의 집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